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무용예술 [art of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채원
정의
신체의 리드미컬한 율동으로 미를 추구하는 예술의 한 형태이다.
기원
북한의 무용예술은 1946년 월북한 최승희무용연구소를 중심으로 기틀이 마련되고 발전해 나갔다. 북한 무용을 러시아 발레와 최승희 무용을 북한식으로 개편해 조선무용으로 발전시켰다.
변천
1948년 국립무용학교가 설립되면서 북한식 무용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고, 1957년부터는 해외공연도 수시로 갖게 되었다.
내용
북한에서 “무용이란 사람들의 사상감정과 생활을 예술적 율동으로 형상한 것”(《김일성 선집》 제22권)이며, “무용예술은 사람들에게 삶의 희열과 생활의 보람을 안겨주는 아름답고 고상한 예술”(《김정일 선집》제10권)로 규정되어 있다.
무용은 음악과 더불어 인간의 창조적인 노동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어느 예술 형태보다도 인간생활과 관련이 깊다. 즉, 인간의 생활이 있는 곳에는 노래와 춤이 항상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용은 인간과 그의 생활을 형상하며,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형상화한다. 인간의 사상과 감정은 자연과 사회를 개조하고 자주성과 창조성을 실현하기 위한 투쟁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으로 생활과 결부되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를 진실되게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을 사상 정서적으로 교양한다.
무용에서 형상 수단은 율동이다. 무용 율동은 사람의 미학적 요구에 맞게 목적의식적으로 창조한 것으로 율동 가운데서도 가장 전형적이며 가치 있는 높은 형태의 율동이다. 무용 율동은 사람의 신체를 조화롭게 움직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술 가운데서 가장 정서적으로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다. 무용 율동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는 대조와 반복이다. 고저, 장단, 강약과 같은 대조와 반복이 있어야 무용 율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일상적인 움직임을 예술적으로 가공하고 조화롭게 다듬어 낼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때문에 무용 율동을 예술적 율동이라 하며, 예술적 율동 없이 무용이 생활을 반영할 수 없다.
무용에서 율동은 무용예술을 특징 지우는 중요한 요소이다. 연극처럼 생활적인 동작이나 말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다. 무용에서 얼굴 표정이나 무용 구도, 조형적 군상도 중요하지만 기본은 율동적인 동작에 있다. 율동은 장단을 타고 조화롭게 움직이는 춤의 흐름새이며,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인 것이다.
또 하나의 특성으로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화려한 화폭을 펼쳐 보이는 예술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눈으로 보는 예술로서의 무용을 일정한 시공간 속에서 아름답고 화려한 율동의 화폭을 펼쳐 보이는 시각적인 예술인 것이다. 무대라는 주어진 공간 속에서 무용수에 의해 수행되는 율동과 균형적인 가짐새, 춤구도 등이 음악의 흐름과 더불어 펼쳐지면서 주제와 내용을 형상해내고 관객으로 하여금 눈으로 보고 이해하고 감상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용예술은 종합예술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율동과 음악, 무대미술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무대미술에는 의상, 소도구, 무대장치, 배경, 조명, 분장이 포함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무용 형상은 시대적 환경과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고 무용 작품의 사상적 내용을 풍부히 하기 때문이다.
또한 무용예술은 민족적 색채가 짙은 예술이기도 하다. 인간의 생활과 깊은 관련 속에서 생성된 만큼 나라와 민족의 역사, 그 민족의 생활정서와 풍습이 공고하게 반영되어 있는 예술이다. 무용의 율동적 동작에는 그 민족의 특징적인 성격과 정서, 생활 동작과 몸가짐 등이 반영되어 나타나며, 그러한 민족적 특성은 민족적인 장단과 선율, 의상과 소도구 등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이처럼 무용예술은 여러 형상 수단을 통해 민족적 특성을 뚜렷이 반영하고 있으며, 민족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오늘날 북한은 전통성을 지닌 민족 예술로서의 무용을 중시하는 반면, 자유로운 표현에 미적 가치를 두는 현대무용은 퇴폐적이며 부르주아적으로 평가하여 거부한다.
관련어
최승희무용연구소
,
국립무용학교
관련자료(북)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1992.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