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혁명무용 [revolutionary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채원
정의
혁명적 내용을 지닌 전투적이며 민족적인 특성을 지닌 무용이다.
기원
1920년대 항일혁명유격대원들의 무용에 기원을 두고 있다.
변천
항일혁명투쟁 시기에 연예대와 아동단 유희대와 같은 문선대가 조직되어 문화공연을 펼쳤는데, 바로 이들에 의해 창작된 무용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70년대를 전후하여 <눈이 내린다>, <키춤>, <조국의 진달래>와 같은 ‘불후의 명작무용’을 내놓아 혁명무용의 전형으로 현재에까지 계승하고 있다.
내용

혁명무용은 혁명적 내용을 지니는 것으로 인민대중의 정서에 맞고 전투적이며 민족적인 춤 동작으로 구성되고 있다. 항일혁명무용은 군중문화 사업, 선전선동 사업의 중요한 수단으로, 유격대원들과 인민대중을 민족적 및 계급적 해방을 위한 투쟁에 떨쳐 일어서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특기할 무용 작품으로는 주체적인 혁명노선과 전략전술 방침을 형상화한 <단심줄>과 <13도 자랑>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유격대원들의 무장투쟁과 혁명적 자부심을 그려낸 <무장 춤>, <기병대 춤>, 조선인민혁명군과 인민대중의 영웅적인 투쟁과 숭고한 사상적 풍모를 통해 그들의 신념과 낙관주의를 보여 준 <붉은 수건춤>, <재봉 대원 춤>등이 있으며, <나물 캐는 춤>, <산딸기 춤> 등과 같은 인민대중의 생활을 형상한 작품들도 있다. 이와 같이 문선대 활동에서 창작된 무용이 있던 한편, 대중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었던 군중무용도 매우 중시되고 있다. 그것은 항일유격대원들과 인민대중에게 혁명 승리의 신심과 용기를 북돋아 주고 생활을 보다 전투적이고 낙천적으로 만들어내는 중요한 문화 수단의 하나로서 이용되었다.
항일혁명무용은 사상적 내용을 전투적이고도 인민적인 춤 동작, 간결하고 생활적인 무용구도와 독무, 쌍무, 군무 그리고 노래와 춤을 배합한 가무 등의 형식으로 반영해내고 있다. 이러한 항일 혁명 무용의 혁명성과 전투성, 인민성과 통속성 그리고 사상예술성과 풍부한 창조적 경험은 북한 무용예술의 역사적 뿌리로, 대를 이어 계승・발전시켜야 할 혁명적 재부로 취급되고 있다.

관련어 4대 명작무용
관련연구(남) 정병호·이병옥·최동선, 『북한의 공연예술Ⅱ』, 서울: 고려원, 1991.
관련자료(북)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1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문예출판사 편, 『조선예술년감』, 평양: 문예출판사, 1989.

이미지

혁명무용

이미지명 : 혁명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