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혁명렬사릉 [Revolutionary Martyrs Cemete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조소 > 조각
9분류 작품
집필자 박계리
시기1975년
정의
<혁명렬사릉>은 북한의 혁명열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미술로 평양시 대성구역 대성산에 위치하여, '대성산혁명렬사릉'으로도 불린다.
용례/관용구
혁명렬사들의 숭고한 혁명정신은 우리 당과 인민들의 심장속에 영원히 살아있을것이다. 김일성 1985년 10월 10일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혁명렬사릉>은 김일성을 중심으로 광복과 인민의 자유, 해방을 위해 참전한 열사들의 반신상을 세운 능이다. 평양시 대성산 주작봉에 위치하고 있다. 1975년에 처음 건설되었고 조선로동당 창건 40주년을 맞은 1985년 확장, 준공하였다.
<혁명렬사릉>은 산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는 동선에 따라, 대문, 돌계단, 기념문주, 전투군상, 친필비, 헌시비, 추모조각군상, 화환진정대, 항일열사들의 동상, 붉은 깃발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문은 높이 19m, 너비 56.4m이다. 김정일이 쓴 “혁명렬사릉”이라는 현판이 함께 있다. 중심건물과 좌우에 놓인 보조건물로 대칭을 이루며, 이들 지붕은 배집지붕들로 연결되어 있다. 기념문주는 높이 8.2m, 너비 3.7m로 사각형의 석탑형식이다. 계단 양쪽에 위치하며, 각 면마다 오각별이 조각되어 있다. 전투군상은 군상마당의 좌우에 있는 <방어>편과 <진군>편을 말한다. 각각 11개의 상으로 구성되었고, 길이18m, 높이 5.5m에 달하는 화강석 재질의 군상이다. 오른편에 위치한 <진군>편은 항일 투쟁의 나날들을 3부분으로 나누어 보여준다. 친필비는 교양마당 오른쪽 능선에 위치해 있다. 길이 18m, 높이 4.2m, 무게 470톤의 화강석에 김정일의 친필이 새겨져있다. 헌시비 <만대에 길이 전하라 대성산 사랑의 릉이여>는 교양마당 왼쪽에 세워져 친필비와 대칭을 이룬다. 길이 18m, 높이 4.2m에 달하며, 350톤의 천연 화강석으로 세워졌다. 추모군상은 5인 군상으로 되어 있는데, 화환진정대를 향하여 교양마당 좌우에 펼쳐져 있다. 오른쪽에는 전투에서 희생된 열사들을, 왼쪽에는 지하 활동을 하다가 희생된 열사들을 추모하는 내용으로, 길이 9.5m, 높이 4.5m이다. 화환진정대는 검은색 돌 재질로, 길이 4.3m, 너비 2.5m의 공화국 영웅메달을 동으로 부각하였고 목란꽃을 함께 장식하였다. 항일열사들의 동상은 동으로 되어 있으며, 연대에 따라 단을 이루어 배열되었다. 110여명의 항일열사들의 반신상들은 댓돌에 항일열사들의 이름, 생몰년월일, 참전 시기 등이 새겨져 있다. 붉은 깃발은 열사능의 위쪽에 길이 22.2m, 높이 11m의 크기로 세워져, 항일열사들과 한반도의 기상을 상징한다.
<혁명렬사릉>은 북한미술계에서는 혁명 열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미술로 평가되고 있다.
관련어 기념비, 릉기념비, 기념비미술
관련연구(남) 이주환, 「대성산(大城山) 혁명열사릉(革命烈士陵)에는 누가 묻혀 있을까」, 한국역사연구회 웹진 제11호, http://www.koreanhistory.org, 검색일: 2015.04.14.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혁명렬사릉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

혁명렬사릉2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2

혁명렬사릉3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3

혁명렬사릉4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4

혁명렬사릉5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5

혁명렬사릉6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6

혁명렬사릉7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7

혁명렬사릉8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8

혁명렬사릉9

이미지명 : 혁명렬사릉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