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군중무용 [popular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채원
정의
대중이 언제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게끔 통속적으로 창조한 무용이다.
내용
대중이 노동과 일상생활, 국가 명절이나 기념일 및 집회 등, 언제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게끔 통속적으로 창조한 무용으로, 포크 댄스(Folk Dance)를 말한다. 노동하는 대중들 스스로가 직접 추고 즐기는 군중무용은 창작자가 따로 있을 수도 있고 대중들이 직접 만들 수도 있으나, 춤추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대중 또는 노동자이다.
예술무용이 교양적 기능을 지니는데 반해, 군중무용은 노동하는 대중의 사상과 정서적 문화생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능을 지닌다. 말하자면 노동으로 축적된 정신적, 육체적인 피로를 풀어주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상호 이해를 도우며, 더불어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기능한다. 인민대중의 문화생활을 보장하고 집단주의 정신을 키우는 중요 수단의 하나로서, 군중무용을 배우고 진행하는 과정은 근로자들에게 무용과 음악에 대한 정서와 소양을 높여주고 그것을 직접 즐길 수 있게 하며 조직성과 집단주의를 길러주는 좋은 계기가 된다.
항일혁명투쟁 시기에 조선인민혁명군 대원들은 군중무용을 하면서 휴식의 한때를 즐겼고 이를 통해 힘과 용기를 더욱 북돋았으며 인민대중에게도 승리의 신심을 안겨주었다. 이때의 전통을 이어 창작, 발전시켜 온 대표적인 군중무용 작품으로는 <유격대 행진곡>, <노들 강변>, <도라지>, <옹헤야>, <봄이 왔네>와 같은 근로자들과 청년 학생들 속에서 널리 추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것들이다. 윤무 형식을 취하며, 짝과 또는 집단적으로 손을 잡고 원을 따라가면서 혹은 원의 안팎을 이동하면서 즐겁게 춤추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선무용동작에 기초하여 누구나 쉽게 배우고 따라 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쉬운 동작들로 구성되며 시간제한 없이 연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으로는 ‘보통 걷기’를 기본으로 하여 ‘곱디디어 걷기’, ‘전줄러 걷기’, ‘메고 지기’, ‘메고 펴기’, ‘손뼉 치기’ 등으로 엮어진다.
음악으로는 기백 있고 약동적인 혁명가요와 흥겹고 경쾌한 민요, 부드럽고 서정적인 가요곡 등이 사용되며, 인민군 군인들과 청년 학생들 속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군중무용은 춤추기 쉽고 흥겹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체로 3박자 또는 4박자 계통의 음악에 맞춰출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3박자 또는 4박자 곡이면 어느 음악이든지 맞춰 출 수 있는게 장점이다.
관련연구(남)
김채원, 『최승희 춤:계승과 변용』, 서울: 민속원, 2008.
관련자료(북)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참고자료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군중무용
군중무용2
이미지명 : 군중무용
이미지명 : 군중무용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