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춤가락 [tune of dance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김채원
정의
춤을 이루는 여러 동작의 율동적인 흐름이다.
내용
춤가락은 춤 동작과 율동적 표현으로서는 같은 말이지만, 춤가락이 음악의 선율과 장단을 타고 더욱 풍부하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에서는 조금 차이를 갖는다. 즉 춤 동작이 율동적으로 조화롭게 엮어짐으로써 실제적인 무용 창작이 시작되는 것이다. 달리 말해 무용 형상은 춤가락을 기본으로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특히 북한무용은 정서적 감화력도 풍부한 형상성 높은 춤가락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춤 동작이 장단을 타는 율동성을 지니고 있다.
성격이 뚜렷한 개성적인 춤가락을 창조함으로써 진실된 형상은 창출되며, 생활적인 동작을 토대로 만들어진 춤가락은 춤의 성격과 뜻을 명백하게 해주고 예술적 미를 창출한다. 또한 인민대중의 사상감정과 생활, 미감에 맞게 민족적 정서를 반영하며, 음악과의 형상적 통일을 이루도록 무용 구성법에 맞게 춤가락을 엮어내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민족적 춤가락을 살리게 되고 그것은 민족적 춤 형식과 무용예술을 주체 예술로 발전시키는 기본 방도가 된다.
춤가락은 가능한 선조들로부터 창조되고 발전했으며, 그들의 생활이 반영된 민속무용을 비롯한 다양한 무용 문화유산으로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춤가락을 살려 냄에 있어서 민족적 특성을 보존할 수 있도록 본래의 성격을 살리면서도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듬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어 춤사위
동의어 춤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