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구도 [composition in a dance]
상세 정보 표
분야 |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9분류 |
개념 |
집필자 |
김채원 |
- 정의
-
무용수들이 춤을 추며 다니는 길과 자리 따위로 이루어지는 조형적인 형태와 선이다.
- 내용
-
춤 구도는 무용수들이 춤추며 다니는 공간적 행로와 위치를 규정한다.
춤 구도는 반드시 일정한 모양의 선과 형태로 표현되는데, 무대구도나 화면구도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우선 무대 균형이 정확히 맞아야 한다. 즉, 시각적인 앙상블을 중시하는 춤에서는 중심과 무대 중심이 일치해야 하고, 좌우의 인원 배치나 군상 처리를 균형이 맞게 배치해야 하며, 무용수들의 줄과 간격이 일정하도록 구도를 설정해야 한다. 다음으로 구도의 모양과 선이 뚜렷하고 아름답게 해야 한다. 또한 음악과 무대미술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무용수의 춤추는 자리와 길도 이와 관련하여 진행되어야 하고, 무대배경의 그림에 맞춰 구도를 정해야 한다. 따라서 춤 구도는 작품의 사상과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적절한 대열 및 대형 구성이 이루어질 때 예술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춤 구도는 춤추는 자리, 길선과 배열선, 그리고 입체적 형상체를 포함하는 기타 요소로 구성된다. 길선은 무용수들에 의해 가상적으로 그려지는 것이라면, 배열선은 일정하게 정지된 상태에서 직관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말한다.
종류로는 형상적으로는 기본구도인 원형, 대각선, 사선형, 교차선, 반원형, 삼각형, 2열, 3열, 4열 등이 있고, 이러한 기본구도와 기본구도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 구도가 있으며, 작품에 절대적인 중심은 아니지만 기본구도를 부각시키기 위한 보조 구도가 있다.
다음으로 전개 형식에 따라서는 홀구도, 겹구도, 섞음 구도, 널린 구도, 그 외에 작품에 따라 모인 구도, 계단식구도, 퍼진 구도 등과 같이 다양한 이름의 구도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춤 구도는 등장인물의 행동 경로, 생활환경, 묘사 대상 등의 무대적인 선을 통해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무용 작품에 반영된 생활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형화함으로써 작품의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나게 하는 춤의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춤 동작들의 매듭을 지어주며 춤의 대목과 장면을 교체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춤 동작을 전개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