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달맞이춤 [Dance Welcoming the First Full Mo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채원
시기1984년
제작자피바다가극단(안무 김해춘)
정의
달맞이 풍습을 소재로 창작한 민속무용이다.
내용

근면하게 농사를 지어 풍성한 가을을 맞이하는 처녀 총각들이 동구 밖에 나와 달맞이를 하며 노동의 보람과 청춘의 기쁨을 나누는 모습을 서정적으로 형상한 민속무용이다.
간단한 방창과 느린 민요풍의 음악에 맞춰 춤을 춘다.
구성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앞부분은 달맞이하러 나온 처녀 총각들이 달이 떠오르는 것을 기다리며 춤추는 장면이며, 중간은 사랑하는 한 쌍의 처녀총각을 둘러싸고 나머지 처녀 총각들이 꽃등을 비춰주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표현하며, 뒷부분은 처녀 총각들이 집단적으로 교감하면서 춤을 겨루는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이어 동산 마루에 둥근달이 솟아오르면 처녀 총각들이 부풀어 오르는 감정을 안고 달 구경을 한 후, 무대 밖으로 서서히 퇴장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이 춤에서 특히 흥겨운 부분은 춤을 겨루는 장면으로, 총각들은 발을 구르고 손뼉과 무릎을 치면서 춤을 박력 있게 추면, 처녀들은 대조적으로 수줍은 듯 몸 방향을 좌우로 바꾸며 손을 뿌리치는 동작, 한 팔을 둘러메는 동작 등의 서정적인 춤을 선보인다.
우리나라 고유의 풍속을 반영하여 여성들의 서정적인 춤과 남성들의 박력 있는 춤, 그리고 사랑을 노래하는 청춘 남녀들의 따뜻한 춤 등이 조화롭게 펼쳐져 매우 조용하고 은은한 느낌을 선사한다.
이 작품은 민족의 전통적인 달맞이 풍습을 현대적 미감에 맞게 일관된 흐름과 속도의 춤으로 형상함으로써 민속무용 창작에서 새로운 경지를 보여준 성과작으로 평가받았다.

관련어 김해춘
관련연구(남) 김채원, 「여러 개의 작품을 엮어 :무용조곡 」, 『몸』, 1권, 2010.
관련자료(북) 리순신·리금산, 『조선의 민속전통 6』,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5.
『조선예술년감』,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달맞이 춤

이미지명 : 달맞이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