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락원의 노래 [Song of a Paradis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음악무용이야기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채원
시기1976년
제작자만수대예술단
정의
일정한 줄거리를 음악, 무용, 무대미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공연양식으로 표현한 음악무용이야기이다.
내용
<낙원의 노래>는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가극과 같이 일정한 줄거리를 바탕으로 음악, 무용, 무대미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종합공연 양식에 의한 작품으로, 서경, 전 8장, 종장으로 구성된다. 어느 한 신문사 여기자인 선희가 연재기사 <낙원의 노래>를 쓰기 위해 북한지역 곳곳을 여행하면서 만나는 인민들을 통해 사회주의 건설에 나선 인민의 행복함과 보람을 경험하게 되는 취재과정과, 과수원 부지배인인 창세가 6.25 전쟁 때 전사한 전우이며 공화국영웅인 최수길의 딸 봉희를 찾아다니던 끝에 그녀가 바로 최수길의 딸임을 알게 되고, 이를 계기로 선희가 아버지를 대신하여 금메달 훈장을 받는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음악무용이야기 <낙원의 노래>에서는 북한을 인민의 낙원으로 설정하여 사과농장 처녀들의 노동의 기쁨과, 금강산휴양소로 가족나들이를 떠나는 어부들의 기쁨, 협동마을 분배장에서 분배된 몫을 받아안고 기뻐하는 농장원들의 모습 등을 아름답고 장엄하게 형상화함으로써 인민대중을 위해 복무하는 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선희를 중심으로 한 인물의 관계와 현실생활을 통하여 근로자들의 도덕적 풍모와 창조적인 힘에 대해서도 감동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의 취재과정을 따라 펼쳐지는 절가적인 노래들과 소품화 된 무용들은 전개되는 이야기를 표현하면서도 각각의 독자적인 예술작품으로서의 형상적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 가운데 무용을 보면, 사회주의 낙원에서의 인민의 행복감을 그린 <노들강변>, 백리과원장면에서 과수원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사과꽃정 춤>, 동해어장에서 만선의 기쁨을 노래하는 남녀군무 <만선기 휘날려라>와 <노을비낀 바다가>, 항일무장투쟁시기 만경대를 그리워하는 여전사들의 춤인 <사향가>와 <백두산정춤>, 속도전의 기상으로 달리는 노동자의 힘있는 모습을 그린 <강선의 노을>, <비단실 뽑는 처녀>, 협동농장장면의 <손북춤>과 <만풍년의 우리조국 온 세상에 자랑하세>, 그리고 종장의 <그네뛰는 처녀> 등 각각의 개성적인 특색을 가진 13편의 소품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 무용들은 항일혁명전적지와 명승지, 공업과 농업을 비롯한 인민경제의 여러 분야를 주제로 북한의 인민이 누리는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을 다양하게 펼쳐보이고 있다.
이 작품에서 특징이 되는 것은, 극적 갈등구조 없이 긍정적인 사실만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엮어내고 있으며, 명작과 명곡으로 구성된 절가와 무용소품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관객에게 감화력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는데 있다. 전자는 전체 인민이 하나의 사상의지로 굳게 뭉치고 온 나라가 하나의 혁명적 대가정을 이루는 사회주의제도에서 사는 사람들 사이의 동지적인 인간관계를 일반화하여 예술적 감동을 주려는 것이며, 후자의 예술적 형상은 출연자들의 사상적 통일과 기교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고 있다.
관련자료(북) 주문걸·남용진, 『주체적 무용, 교예 예술의 새로운 전환』,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5.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편, 『락원의 노래』,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 1964.
『락원의 노래 총보: 무대미술』, 평양: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198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