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태을민 [Tae Ulmi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인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정수
출생일1916년 11월 6일
사망일1969년 5월 10일
출생지서울
정의
1916년 서울출생으로 전 조선예술영화촬영소의 연극 및 영화배우이며 인민배우이다. 주역보다는 주역을 빛내는 비중 높은 조연을 주로 맡았으며 개성적인 화술로 유명한 월북배우이다.
내용
연혁
1916년 11월 6일 ~ 1969년 5월 10일 연극 및 영화배우
1916년 11월 06일 서울 출생
보통학교 졸업하고 신문배달부, 포장공, 시계수리공 등으로 일함, 19살 때 서울동양극장 대본필사공으로 들어 감
1936년 배우가 됨
1945년 해방 후 서울의 여러 극단에서 배우생활
1948년 이후 월북하여 국립연극극장, 평양극장,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배우로 활동
6.25 전쟁 시기 전선과 후방에서 공연활동
1962년 인민배우
1969년 5월 10일 사망, 애국렬사릉에 안치

생애/작품활동
연극 및 영화배우이다. 해방 후 서울의 여러 극단들에서 배우생활을 하다가 1948년에 북한에 들어와 국립연극극장, 평양극장,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배우로 있었다. 김일성의 주체적문예사상과 문예방침을 따라 다양한 주제의 연극과 영화창조사업에 참가하여 참신하고 개성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북한은 김정일 역시 태을민을 신뢰했으며, 김정일이 주체문학예술 사업을 전개할 때 태을민은 개성적인 연기로 맡은 인물들을 구축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가 1969년에 사망했음을 고려할 때 김일성 시대의 배우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가 구축한 대표적 인물들은 <조국산천에 안개 개인다>의 마을 청년, <탄광사람들>의 윤명덕, <량반전>의 부자, <심청전>의 심봉사, 예술영화 <내 고향>의 지주, <흥부전>의 놀부, 경희극 <보람찬 우리 생활>의 김노인 등이다. 그는 기교 있는 화술로 방송국에서도 유명한 배우로 알려졌다. 인민배우이며 묘는 애국렬사릉에 있다.
관련어 인민배우, 조선예술영화촬영소, 국립연극극장
관련자료(북) 최창호, 『민족수난기의 연극2』, 평양: 평양출판사, 2002.
「(위대한 사랑의 품속에서) 인민배우 태을민의 한생에 깃든 어버이 사랑」, 『조선예술』, 1호, 1999.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8.

이미지

태을민

이미지명 : 태을민

태을민

이미지명 : 태을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