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연극이란 무엇인가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정수
시기1956년
제작자신고송
정의
이 책은 연극 이론서이자 실용서이다. 연극의 발생, 기능, 희곡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연출·연기·무대·극장에 대해서도 각각의 역할과 원리에 대해 다루고 있다.
내용
목차
서문
一. 연극은 어떠한 예술인가
1. 연극 예술의 특수성
2. 연극과 안쌈블, 규률, 륜리
3. 연극의 사상성, 생활성, 예술성
二. 연극의 발생과 발전
1. 연극의 발생
2. 희랍 연극의 발생과 발전
3. 로마 연극의 발전과 쇠퇴
4. 고대 연극의 일반적 특징
5. 중세기와 문예 부흥기의 연극
三. 연극 예술의 사회적 기능
1. 현실 생활에 대한 인식 수단으로서의 연극, 특히 사실주의 연극의 인식적 기능
2. 인민을 고귀한 사상으로 교양하는 기능
3. 인민의 도덕적 품성의 교양자인 연극
4. 인민의 미적 교양자로서의 연극
四. 조선의 연극에 대하여
1. 조선에서의 현대극의 발단
가. 현대극 수입 이전의 조선 연극
나. 현대극의 수입
다. 『신파』와 『신극』
2. 조선에서의 로동 운동의 장성과 프로레타리아 연극 운동
3. 8.15 해방과 진정한 인민적 연극의 발전
가. 8.15 해방 후 연극 부흥의 왕성한 기세
나. 낡은 잔재와의 투쟁과 쏘베트 연극의 선진적 경험의 섭취
다. 인민적 페터또리 창작을 위한 투쟁
라. 남반부 연극의 타락
마. 조국 해방 전쟁과 연극
바. 인민 경제 복구 건설과 연극
五. 쏘베트 연극에 대하여
1. 위대한 10월 사회주의 혁명과 연극
2. 인민 경제 복구 건설기와 사회주의 건설기의 연극
3. 위대한 조국 전쟁과 연극
4. 전후 쏘베트 연극의 계속적인 발전
六. 연극과 희곡
1. 연극 창조에 있어서 희곡의 위치
2. 극장과 극작가
3. 희곡의 제약성
4. 희곡의 종류
七. 연극과 연출
1. 연출가란 무엇인가
2. 쓰따니쓸라브쓰끼의 창작 방법
3. 연출가와 희곡
4. 모든 창조 과정과 연출가
八. 연극과 배우
1. 배우 예술의 길
2. 재현 예술과 체험 예술
3. 배우의 자연
가. 유기성
나. 말의 감정
다. 창조적 상상력
라. 기질
마. 표현력
4. 배우의 외면적 기술과 숙련
九. 연극과 미술 및 부차적 요소들
1. 연극에서의 미술가의 위치
2. 무대 미술부의 역할
3. 조명이 하는 일
4. 무대의 음향 효과
5. 무대 분장술
十. 연극과 극장
1. 현대의 극장
2. 극장과 관객

내용
이 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연출/연기/무대/조명에 관한 것이다. 신고송은 연출과 연기에 있어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전적으로 수용한다. 연출가는 배우의 거울이 되어야 하고, 생활을 관찰하고, 다방면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산파로써의 연출을 강조한다. 또한 연출의 희곡 분석에 스타니슬랍스키의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초목표-목표 등의 분석을 제안한다. 좋은 연기를 하기 위해 배우에게는 스타니슬랍스키의 『배우수업』을 인용하면서, 유기성/감정/상상력/기질을 언급하고 외면적 기술의 중요성 역시 강조한다. 당시로서는 연극의 이론과 실제에 상당히 우수한 교과서라 하겠다.

“연출자의 표시가 배우의 모방이나 흉내의 대상으로 될 것이 아니라 씨가 되어 배우의 창작적인 개조에서 배우 자신의 것으로 싹이 터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만약 연출가가 배우에게 표시하여 준 것을 배우가 단지 잘 기억하기만 한다면 표시된 것에 깊이 침투하지도 못할 것은 물론이며 자기의 배우적 정서 가운데서 그것을 개조하지도 못할 것이다 이는 다만 연기할 것만을 위하여 애쓰는 것으로 되며 또한 연출가에 의하여 표시된 것을 자기의 형상에 유기적으로 혼연하게 융합하지 못한 것으로 된다. 이런 경우의 연출가의 표시는 도리여 유해로운 것으로 되고 마는 것이다.”(154쪽)
관련어 신고송
관련자료(북) 신고송, 『연극이란 무엇인가』, 평양: 국립출판사, 1956.
참고자료 신고송, 『연극이란 무엇인가』, 평양: 국립출판사,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