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반살풀이장단 [half salpuri tun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이론
9분류 개념
집필자 배인교
정의
전라도 살풀이장단의 전각을 독자적인 장단 형태로 이용한 것이다.
용례/관용구
곡조는 또한 잘다란 리듬을 타고 흐르는 첫부분에서 독특하게 나타나군하는 이강박 (두번째, 네번째 소절)들과 긴 리듬을 탄 둘째부분의 선률구절들이 세번째박인 중간박에서 력점을 가지고 머물군하는 등의 리듬적특성들의 유기적조화로 반살풀이장단의 맛을 은근히 자아내여 선률의 률동적인 흥취와 부드러운 민족적색갈을 더 진하게 해주고 있다. 김숙영, 「(노래해설) 시대정신을 생활적으로 감동깊이 형상한 송가: 가요 <푸른 하늘 펼치고싶어라>에 대하여」, 『조선예술』, 제6호, 1993.
기원
전라도 살풀이장단에 기원을 두고 있다.
내용
반살풀이장단은 6/4박자 한 소절 단위, 혹은 3/4박자 두 소절 단위로 이루어지며 속도는 ♩=100으로 살푸리장단보다 약간 빠르다. 반살풀이장단은 3단격의 리듬형이 반복되는 것으로 억양적 역점의 위치는 후각의 둘째 리듬단위의 끝머리이다.
반살풀이장단은 우아한 서정미와 함께 내적인 흥취를 가진다. 살풀이장단의 반인 반살풀이장단도 다시 반으로 나누어 다른 양상에서 사용된다. 즉 반살풀이장단의 원각장단은 선율의 리듬모양이 두 소절 단위로 이루어지거나 선율마디가 장단의 원각길이와 같을 때 주로 사용하며, 반살풀이장단의 반각장단은 선율양상이 보다 활력있고 동적인 성격을 요구할 때 사용된다.
관련어 살풀이장단
동의어 서정장단
관련연구(남) 배인교, 「북한의 민요식 노래와 민족장단」, 『우리춤연구』, 제12집, 2010.
관련자료(북)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평양: 예술교육출판사, 1989.
함덕일, 「(강좌) 대전성기 가요예술에 구현된 서정장단」, 『조선예술』, 8호, 1995.

이미지

<악보 1> 3박자 서정장단

이미지명 : <악보 1> 3박자 서정장단

<악보 2> 6박자 서정장단

이미지명 : <악보 2> 6박자 서정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