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인민내무군협주단 [People's Internal Army Ensembl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공통 > 기악
9분류
조직
집필자
노동은
시기
1947년
정의
종합예술단으로, 다양한 연주형태로 공연하는 인민내무군 산하의 예술단이다.
규모와 구성
2관 편성의 양악관현악단과 합창단 및 민족기악중주단 등의 독주·중주·합주와 독창·중창·합창, 그리고 부분배합관현악 편성의 연주형태, 또한 무용단들의 독무·군무, 경음악 등을 특징으로 한다. 양악관현악과 합창단의 규모는 관현악이 60명, 합창단이 70명 등 150명 정도이다. 민족기악중주단은 해금속·양금·가야금·저대·단소·대피리·손풍금·장고·꽹과리 등 18명 정도의 반주에 민요가수들이 노래한다. 이 밖에 어은금·바얀(Bayan, 러시아 민속악기인 버튼식 아코디언)·하모니커·기타·퉁소(북청사자놀이) 등이 독주와 중주 형태로 있다.
내용
사회안전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사회안전성 산하에 설립된 사회안전부협주단에서 제도변경에 따라 그 이름이 개칭되어왔다.
1982년 4월에 사회안전부가 당비 서국 산하로 소속이 변경되고, 1998년4월에 내각 산하의 사회안정성으로 개칭되자 ‘사회안전성협주단’ 또는 ‘안전성협주단’으로 바뀌었다. 2000년 4월에 정무원 산하의 인민보안성으로 개칭되면서 ‘인민보안성협주단’으로 바뀌었으며, 2010년 2월 인민보안성이 또다시 인민보안부로 격상하자 ‘인민보안부협주단’으로 바꾸어 창단공연을 하였다. 이어서 인민보안부가 두 달 후인 2010년 4월에 국방위원회 직속으로 격상하고, 공연대상도 공장·기업·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인민내무군’으로 되면서 이름이 ‘인민내무군협주단’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소속극장은 평양봉화예술극장이다.
관련어
평양봉화예술극장
동의어
사회안전부협주단
,
안전부협주단
,
평양사회안전부협주단
,
인민보안성행극단
,
인민보안부협주단
관련연구(남)
노동은, 『한국음악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2.
이미지
인민내무군협주단
이미지명 : 인민내무군협주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