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초소의 봄 [Outpost in Spri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기악
9분류 작품
집필자 민경찬
시기1959년
제작자공영송
정의
초소를 지키는 인민군 초병들의 세계를 서정적으로 표현한 단소 독주곡으로, 2중주곡, 협주곡 등 여러 가지 형식으로도 널리 연주되고 있다.
내용
서주부와 함께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종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서주부는 봄을 맞이한 초소의 아름다운 정경을 표현한 것이며, 제시부는 초병들의 전투적 기백과 낙천적인 생활감정을, 발전부는 인민군 초병들의 슬기로움과 용감성을, 재현부는 초소생활의 이모저모를, 종결부는 초소생활의 보람과 긍지를 표현한 것이다.
단소 독주곡으로 작곡되었지만, 단소와 가야금을 위한 2중주곡 및 단소와 배합관현악을 위한 단소협주곡 등 다양한 편성으로 편곡되어 연주되기도 한다. 특히 1976년 최재선이 단소독주곡 <초소의 봄>의 선율을 바탕으로 북한에서 개량한 가야금의 특성에 맞게 같은 제목의 가야금 독주곡을 만들었는데, 원곡보다 더 유명하며 더 많이 연주되고 있다.
‘민족음악의 독특하고 우수한 표현수법을 잘 살려 영웅적 조선인민군 용사들의 일당백의 혁명적 기백과 열정을 훌륭히 표현한 명곡’으로 평가를 받고 있으며, 각각 단소와 가야금을 대표하는 연목(레퍼토리)으로 정착되어 있다. 한국을 비롯한 외국에서도 자주 연주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북한식 그대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편성으로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이 곡을 주제로 한 석사학위논문도 여러 편 나와 있다.
관련어 공영송, 단소독주곡, 가야금독주곡
관련연구(남) 공선주, 「북한 21현 가야금 독주곡 <초소의 봄> 연구」,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2005.
김경순, 「<초소의 봄>」의 분석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1.
김상혁, 「창작음악 분석 연구: 단소 협주곡 <초소의 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0.
김소영, 「가야금 <초소의 봄> 협주곡의 연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6.
함금화, 「25현 가야금 창작곡 <초소의 봄>의 주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0.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이미지

초소의 봄

이미지명 : 초소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