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무용표기 [choreograph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한경자
정의
무용의 형상수단을 약속된 부호로 일정한 방법에 의하여 기록한다.
기원
삼국시대 무덤 벽화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긴소매춤, 칼춤, 창춤, 장고춤, 소고춤, 탈춤 등의 기록에서 기원한다.
변천
삼국시대 무덤 벽화의 그림들에서 낙천적인 생활이 무용 율동에 반영되어 기록되어 있고, 또한 16세기 초 세종, 세조 때 악보 기보법이 창안되면서 무용을 기록하는 연구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었다.
1592년 이전에 출판된 『악학궤범』에는 무용 의상과 소도구, 무용 구도 등이 밝혀져 있으며, 16세기 전반기에는 『시용무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무용보가 새롭게 편찬되었다.
내용
‘무용표기법’은 무용을 음악의 악보처럼 쉽게 표기할 수 있는 부호체계를 개발하여 춤동작과 무용구도 등 무용형상의 모든 요소들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무용표기법’은 무용을 표기하는 데에 이용되는 무용 표기 부호와 무용 보표, 무용의 길이표, 춤 형상을 나타내는 표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의미한다.

다음은 북한의 무용표기이다.

‘무용 표기 부호’
언어학에서의 자모와 같이, 춤동작을 이루는 기본요소인 형태와 자리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무용 보표’
악보에서와 같이 무용동작과 구도의 흐름 과정을 부호로 기입하는 보표이다.

‘길이표와 쉼표’
음악과 결합되어 있는 무용의 특성에 맞게 춤 길이를 음악의 길이와 일치시켜 박자로 표기한다.

‘기타 표식 부호’
기본 표기 부호에 춤에 반영되는 개별적인 몸 부위들의 형상적 특징과 소도구, 그리고 무용 표기의 간편성을 위하여 제정한 표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춤 형상 표어’
무용 작품이나 춤 동작의 양상과 정서적 성격을 나타내는 표어이다.

과학적이며 통속적인 무용표기법을 통해 무용을 좀더 정확하고 간편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누구나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무용 창작을 비롯한 무용 예술의 발전은 물론 다른 분야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무용을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관련어 무용보, 주체적 무용표기법, 자모식 무용표기법
관련연구(남) 문화체육부, 『북한식 문화예술 창작방법론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1998.
서연경, 「북한 무용표기법의 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7.
최해리, 「한국 무용기록의 역사와 전망」,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호, 2001.
황경숙, 「북한 무용표기법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지』, 3권 1호, 1995.
관련자료(북) 김정일, 『김정일 선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리경희·박춘채, 『무용보읽기(예비반용)』, 평양: 2.16예술교육출판사, 2001.
『불후의 고전적명작<피바다>중에서, 혁명가극 <피바다> 종합총보』,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2.
참고자료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평양음악무용대학무용표기연구실, 『무용표기법』, 평양: 문예출판사, 1987.

이미지

무용표기

이미지명 : 무용표기

무용표기_표1

이미지명 : 무용표기_표1

무용표기_표2

이미지명 : 무용표기_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