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무용극 [dance dram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무용극
9분류 개념
집필자 한경자
정의
극적 방식으로 전개되는 무용예술 형태이다.
내용
무용극이란 사람들의 생활과 사상감정을 극적인 사건과 줄거리를 가지고 무용형식으로 보여주는 규모가 큰 형식의 무용작품이다. 무용 종류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예술무용을 규모별로 구분하면 무용소품, 무용조곡, 무용극으로 나뉘어진다.
무용극에서는 춤동작과 무언극동작, 무용구도 등을 기본 형상수단으로 하고 그 외 음악, 무대미술 등이 결합된다. 무용극은 막과 장으로 구분되고 각 장은 춤장면으로 나뉘어지며 춤장면은 주인공의 내면 세계와 사건을 직접 표현하는 무용과 당대의 현실과 생활을 보여주는 무용으로 구성된다. 무용극에서 주인공의 행동선을 따라 펼쳐지는 무용은 독무, 쌍무로 형상되며 시대상과 생활상을 보여주는 무용은 주로 군무형태로 형상된다. 무용극은 담고있는 규모에 따라 장막무용극, 중막무용극, 단막무용극으로 분류된다. 북한에서 창조된 무용극 작품으로는 장막무용극 <붉은 깃발>과 단막무용극 <붉은 심장들>이 있으며, 비극적 죽음을 맞은 한 여인의 무덤에 핀 봉선화를 둘러싼 이야기의 전설무용극 <봉선화> 등을 들수 있다.
무용가 최승희가 대본, 안무, 연출을 도맡았던 4장으로 구성된 1시간 20분짜리 무용극 <사도성 이야기>는 성에 쳐들어온 왜적들에 대한 백성들의 투쟁과 그 과정에 싹튼 성주의 딸과 한 어부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는 대표적 무용극이다.
무용극은 작품을 무용 동작만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노래나 대사를 기본표현 수단으로 하는 가극과는 달리 사상과 내용을 표현함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무용극 속에 노래나 대사를 도입함으로서 그 내용을 보다 쉽게 전달하려고 시도하며 새로운 형태의 무용극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관련어 혁명극, 혁명가극
관련연구(남) 한경자, 「남북한 무용극의 변천과정과 형태에 관한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997.
이애순, 『최승희무용예술문집』, 서울: 국학자료원, 2002.
관련자료(북)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최승희, 『최승희 무용극 대본집』, 평양: 조선예술출판사, 1958.
참고자료 김정일, 『김정일 선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무용극

이미지명 : 무용극

무용극2

이미지명 : 무용극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