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무용대본 [dancing script]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한경자
정의
무용작품의 기본 내용을 문학적 형식으로 서술한 대본이다.
내용
무용작품 창작의 첫 단계로 무용 형상 창조의 기초가 되며 무용대본이 있어야 예술적으로 훌륭한 무용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 무용대본은 무용작품의 기본 내용을 문학적으로 서술한 것으로 무용작품의 주제나 인물의 성격과 관계, 그리고 생활과 이야기 줄거리가 제시된다. 그 대본에 의해 안무 구성안이 작성되고 무용 음악과 춤가락, 무대미술 등이 창작 된다.
무용대본에서는 작품의 기본 줄거리와 환경, 시대적 특징과 등장인물의 성격과 행동방향, 춤의 기본적인 특징 등을 서술한다.
무용대본은 무용작품의 종류에 따라 서술 방식에 차이가 있다. 무용소품의 경우 간단하고 작은 하나의 이야기를 통하여 사람의 생활과 사상감정을 짧은 시간 안에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있게 명료하고 간결하게 꾸며야 한다. 무용조곡에서는 종목별로 각 춤의 간단한 줄거리와 특징, 인물의 성격과 행동 방향을 자세히 밝힌다. 무용극의 경우에는 막과 장의 줄거리와 주인공들의 성격과 그 변화 과정을 밝히며 경우에 따라서는 간단한 대사도 삽입할 수 있다.
무용대본은 연극이나 가극 대본과 달리 말이 없는 무용 형상을 창조하기 위하여 씌어지는 것인 만큼 작품의 생활적 내용과 율동형상에 대한 생동감 있는 표현을 할수 있도록 시적 언어로 서술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무용으로 재현될 무대적 형상의 가능성이 예견되고, 작품의 성격에 맞는 반주 음악과 무대미술이 나올 수 있도록 서술한다.
무용대본은 작품의 사상주제적 내용을 규정하고 작품의 예술적 형상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동의어 무용각본, 무용극본, 무용시나리오
관련연구(남) 이애순, 『최승희 무용예술문집』, 서울: 국학자료원, 2002.
관련자료(북) 『(음악무용서사시)영광의노래: 대본』, 평양: 문예출판사, 1983.
최승희, 『최승희 무용극 대본집』, 평양: 조선예술출판사, 1958.
참고자료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무용대본

이미지명 : 무용대본

무용대본2

이미지명 : 무용대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