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자모식 무용표기법 [alphabetic dance notati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9분류 개념
집필자 한경자
정의
무용의 형상수단들을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그것을 일정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하여 보표에 기록할 수 있도록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무용표기법이다.
내용
‘자모식 무용표기법’은 평양음악무용대학 음악무용연구소 무용표기연구실에서 김정일의 지도를 받아 1970년대 초부터 15년 동안 연구하여 1987년 2월 완성하였다. ‘자모식 무용표기법’이란 일반 문자 체계와 비슷해 춤동작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를 부호화하여 기본 표기부호로 설정하고 그것을 자음과 모음의 결합방식으로 춤동작을 이루는 요소 등을 한글의 결합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무용 표기 부호는 형태와 놀림을 나타내는 15개의 모음과 자리와 방향을 나타내는 19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선지 악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높이와 구조에 맞게 만들어진 3선의 무용 보표에 무용 문자를 기입하여 사용한다. 기본 문자 외에 무용의 길이표, 형상표, 부위표, 줄임표, 변율표, 형상 표어 등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자모식 무용 표기 방법에는 가짐표기방법, 놀림표기방법, 상대관계동작표기방법, 춤구도표기방법, 무용보작성방법이 있다.

[가짐표기방법]
형태, 자리, 방향부호를 결합하여 표기하는 방식.
·팔(다리)가짐의 부호결합 방식
·디딤가짐의 부호결합 방식
·머리가짐의 부호결합 방식
·허리가짐의 부호결합 방식

[놀림표기방법]
몸 부위들의 율동적인 움직임 과정에 변화되는 놀림의 형태와 방향 자리를 결합하여 표기하는 방식.
·개별적 부위 놀림의 부호결합 방식
·걷기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돌기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뛰기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상대관계동작표기방법]
두 팔과 두 다리와의 관계, 손과 몸 부위와의 관계, 몸과 소도구와의 관계, 두 사람 이상의 인물 관계 등 서로 연관 속에서 이루어지는 춤 동작에 대한 표기 방법.
·몸부위 상대관계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소도구 상대관계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인물 상대관계 동작의 부호결합 방식

[춤구도 표기방법]
춤 구도의 기본요소를 이루는 구도의 모양, 크기, 자리, 방향 부호를 결합하는 방식과 춤 구도에서 무용수의 배열관계를 표기하는 방식.
·춤 구도의 기본요소 표기 방법
·춤 구도에서 무용수의 배열관계 표기 방법
·다양한 춤 구도의 표기 방법

‘자모식 무용표기법’은 실제로 북한에서 무용총보의 기록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북한의 무용은 물론 다른 나라 민속무용을 비롯하여 다른 형식의 무용들도 과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일반화된 무용 표기법이다. 그러나 안무가가 무용표기법을 활용함에 있어 그 실용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관련어 무용표기법, 무용보, 주체적 무용표기법
관련연구(남) 박영란, 「자모식 무용표기법」,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호, 2002.
Tran Le Cu.ng, 「조선 자모결합식 무용표기법 세계적인 거대한 발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호, 2002.
성기숙, 「북한의 자모식무용표기법 창안배경과 실체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9집, 2002.
최해리, 「한국무용기록의 역사와 전망」,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호, 2001.
참고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디지털북한백과사전, http://www.kplibrary.com/nkterm/read.aspx?num=717, 검색일: 2014.10.11.
KBS 북한백과, http://office.kbs.co.kr/tongil1/archives/4104, 검색일: 2014.10.11.
김정일, 『무용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평양음악무용대학 무용표기연구실, 『무용표기법』, 평양: 문예출판사, 1987.

이미지

자모식 표기법

이미지명 : 자모식 표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