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들북춤 [Dance of Holding Drum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민속무용
9분류 작품
집필자 한경자
정의
황해도 강령지방에서 들북(소고보다 큰 작은북)을 한 손에 들고 남자와 여자가 어울려 추는 민속춤이다.
내용
<들북춤>은 추석이나 한해 농사를 지어놓고 풍년놀이를 할때마다 추던 춤으로, 남녀가 한데 어울려 추었다. 남자들은 손에 작은 북을 들고 여자들은 맨손으로 원을 지어 돌면서 추었다. 들북은 작은 북인데 농악무의 소고보다는 훨씬 큰 것으로 한손으로 이 들북을 들고 추는 북춤이라는 데서 둘북춤이란 이름이 생겼다. 들북은 향토적인 색채가 짙은 북으로 양쪽의 북편들을 굵은 가죽끈으로 얼기설기 연결하여 농민들의 정서가 풍기는 투박하면서도 소박한 형태를 띤다.
<들북춤>은 원을 긋고 그 원을 따라 돌아가면서 추는 형식으로 고유한 춤동작은 남자들이 북을 어깨에 올려놓고 북가락으로 북을 치며 걷는 동작이다. 특히 걷기에서는 발을 앞으로 높이 드는데 발을 앞으로 무릎만큼 높이 들면서 걷는 독특한 동작은 들북춤의 고유한 춤동작이며, 여자들의 춤동작으로는 매우 독특한 특성이다. 이러한 걷기 동작에 북가락이 결합되면서 남녀가 짝을 맞추어 두줄로 원을 지으면서 돌기도 하고 또는 남녀가 사이사이에 끼어 한줄로 돌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구도를 형성하면서 춤을 춘다. 마지막에는 구경하던 사람들도 한데 어울려 막춤을 추면서 흥을 돋구며 마무리한다.
<들북춤>은 작은북을 어깨에 올려놓고 그 북을 북가락으로 다양하게 치면서 여자들과 감정을 주고 받으며 추는 춤으로 한가위나 풍년의 기쁨을 나누는 민중들의 낙천적인 생활과 향토적인 정서가 잘 반영된 민속춤이며 강령군의 바다를 낀 마을에서 널리 추었다.
관련어 손북춤, 큰북춤, 쌍채북춤, 두레놀이북춤, 룡북춤
관련자료(북) 박종성, 『조선민속무용』, 평양: 문예출판사, 1991.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주강현, 『북한의 우리식 문화』, 서울: 당대, 2008.

이미지

들북춤

이미지명 : 들북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