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국의 진달래 [Azalea of the Motherland]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무용 > 무용소품
9분류 작품
집필자 한경자
시기1971년
제작자만수대예술단
정의
만수대예술단에 의해 창조된 무용으로, 북한의 4대 명작무용의 하나이다.
내용
<조국의 진달래>는 여성 군무로 1970년에 만수대예술단이 창작한 공연물이다. 같은 제목의 서사시, 수예, 가요 작품도 있다. 무용소품으로서의 <조국의 진달래>는 1939년 김일성이 함북 무산지구에 진출했다는 것을 시대 배경으로, 당시 여성 유격대원들의 조국애, 낙천적 생활, 혁명에 대한 굳은 결의 등을 그린 작품이다. 조국을 끝없이 사랑하며 조국의 광복을 앞당기고 해방된 조국 강산에 행복한 낙원을 일으켜 세우려는 조선인민혁명군 대원들의 조국애와 혁명적 낙관주의를 깊이 있게 형상하고 있는 정치성이 강한 작품이다. 총 3부로 이루어진 이 작품에는 17명의 무용수들이 등장한다.
첫 부분에서는 뜨거운 조국애를 노래한 가요 <조국의 진달래>가 환희의 음악 속에 멀리 백두산이 바라보이는 삼지연 연못가에서 진달래의 향기와 조국의 흙냄새를 맡으며 조국 땅을 밟은 조선인민혁명군 여대원들의 격앙된 심정과 조국에 대한 사랑을 우아한 춤으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 부분에서는 혁명가요 <여성해방가>의 선율에 맞추어 경쾌하고 발랄한 율동으로 해방된 조국에서 여성들의 행복한 생활에 대한 낭만적인 지향을 펼쳐 보여준다. 셋째 부분에서는 첫 부분의 음악이 보다 폭넓게 울리는 속에서 김정일의 조국의 해방을 위하여 싸워나갈 조선인민혁명군 여대원들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무용에서는 진달래를 받쳐 드는 동작, 강하게 올려 메는 동작들로서 작품의 사상 주제적 내용을 깊이 있고 생동감 있게 펼쳐 보여주고 있다. 무대미술의 여러 표현수단들과 진달래꽃 소도구는 무용동작과 밀착되어 작품의 사상 예술적 내용을 부각시켜주고 있다.
푸르른 창공 높이 백두산이 솟아있고 둘레에는 만발한 진달래꽃이 봄바람을 안고 설레고 있는 무대배경과 함께 소도구로 이용되고 있는 진달래꽃은 혁명군 여대원들의 조국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작품의 사상예술성을 고양시켜 준다.
군무 <조국의 진달래>는 사상성과 예술성이 결합된 본보기 작품으로 4대 명작무용의 하나로 인정 받고 있다.
관련어 만수대예술단, 4대명작무용, 무용소품
관련연구(남) 문화체육부,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계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1997.
한경자, 「남북한 무용극의 변천과정과 형태에 관한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997.
관련자료(북) 리호인·리혜란·림명애, 『조국의 진달래』, 평양: 문예출판사, 1988.
4·15문학창작단, 『조국의 진달래』, 평양: 문예출판사, 1980.
참고자료 김문환, 『북한의 예술』, 서울: 을유문화사, 1990.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조국의 진달래

이미지명 : 조국의 진달래

조국의 진달래

이미지명 : 조국의 진달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