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영화예술의 혁명전통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작품
집필자 오양열
시기1996년
제작자허의명
정의
북한이 주장하는 주체 영화예술의 이론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을 다룬 허의명의 저서로,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1996년에 출간되었다.
내용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는, 당시 ‘당 중앙’이라 불린 김정일이 주도하여 이른바 ‘제1의 문학예술혁명’을 추진한 시기이다. ‘주체 문학예술의 대전성기’로 불린 이 시기에는 항일혁명투쟁 시기에 김일성이 창작했다고 하는 작품(즉 ‘불후의 고전적 명작’)들이 가극, 연극, 영화, 소설 등 여러 가지 예술형식으로 옮겨 제작되었다.

북한에서 영화혁명은 “영화예술의 모든 영역에서 낡은 것을 뒤집어엎고 새로운 주체의 영화예술을 창조 발전시키기 위한 투쟁”으로 정의되는데, 1970년을 전후한, 이른바 ‘제1의 문학예술혁명’ 시기에 김정일은 영화혁명부터 주도했다. 준박사 허의명이 저술한『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은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과 그 형성의 합법칙성
먼저 ‘제1의 문학예술혁명’ 시기에 ‘불후의 고전적 명작’들을 영화로 옮긴 작품들은 ‘우리’ 영화예술의 전통을 이루는 역사적 뿌리라고 주장한다. 이어서 영화예술의 혁명전통 형성의 합법칙성은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의 창시자가 바로 김정일이고, 1960년대와 1970년대는 그러한 혁명전통이 이루어진 역사적 시기라는 사실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2.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의 창시
김일성이 항일혁명투쟁 시기에 직접 창작했다는〈피바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꽃 파는 처녀〉등 이른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을 영화로 옮기는 ‘력사적 위업의 빛나는 실현’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3.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의 기본 내용
주체적 영화의 사상과 이론, 주체적 영화예술 건설에서 이룩한 업적과 경험, 주체적 영화예술의 창조 체계와 창조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4.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의 지위와 특징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이 차지하는 지위와 그 특징을 논의하고 있다.

5.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데서 견지해야 할 원칙과 방도
우선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 영화예술 건설을 완성하기 위한 필수적 요구라고 주장한다. 이어서 혁명전통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원칙으로 혁명전통의 순결성 고수, 혁명전통의 전면적인 계승, 당의 유일적 영도의 실현의 세 가지를 내세운다. 마지막으로 혁명전통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방도로 영화예술의 혁명전통 교양을 강화하고 영화예술 건설에서 혁명적 영화 전통을 구현할 것을 주장한다.

6.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의 빛나는 심화 발전
북한에서 주체적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이 심화 발전하는 양상을 네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노동계급의 수령형상 창조 문제의 해결, 주체형의 인간 전형 창조에 있어서의 새로운 전환, 사회주의 현실 주제의 작품 창작에서 새로운 전환, 주체적 영화예술의 총화작인 다부작 예술영화 <민족과 운명>의 창작 등이다.
관련어 허의명, 문학예술종합출판사
관련자료(북) 허의명, 『영화예술의 혁명전통』,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영화예술의 혁명전통

이미지명 : 영화예술의 혁명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