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정창모 [Chong Changmo]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조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31년 12월 16일
사망일
2010년 7월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부 완산동
정의
정창모는 월북 미술가로, 북한미술계에서 조선화 몰골기법을 통해 현실의 본질을 조형화해내는 미술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술사 및 미술이론, 분야에도 연구실적을 갖고 있다.
내용
1938년 전주 완산국민학교에 입학하였다. 6.25 전쟁 때 월북하였다. 1957년 평양미술대학에 입학하였다. 조선화학부에 진학하여 정종여, 리률선의 지도를 받았으며 이때 채색화 교육을 중점적으로 받았다. 1963년에는 평양교원대학 교수로, 이후 조선미술가동맹에 소속되어 미술가로 활동하였다. 1975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풍경화실 실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조선화부문 심의위원을 지냈다.
그는 미술이론연구에도 관심을 가져 소논문 「겸재의 생애와 활동」, 「오원 장승업의 생애와 창작」, 「19세기 로씨야 이동파화가들의 창작」 등을 집필하였다.
미술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초기의 주요한 작품들은 조선화 <설맞이>(최계근과 합작, 1968), <4.19의 용사들>(최계근과 합작, 1968), <만경대의 봄>(1972) 등이다. 1965년부터 리석호에게 실기 지도를 받기 시작하여 몰골기법을 이용한 조선화 창작에 있어 붓 기술과 색채기법 등을 체계적으로 배웠다. 1966년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에 조선화 <북만의 봄>을 출품하였다. 이 작품은 ‘뜻이 깊고 정서가 차 넘치는’ 풍경화로 높이 평가받았다.
1976년에 조선화 <비봉폭포의 가을>, <청류벽의 봄>, <해솟는 봄> 등의 초안을 창작했다. 1977년 <백두산의 봄>, <천선대의 가을>로 높은 평가를 받아 공훈예술가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1980년 이후 정물 형식의 몰골화조를 시도하였다. 1989년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았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
리률선
,
정종여
,
리석호
,
만수대창작사
,
공훈예술가
,
인민예술가
,
국가미술전람회
관련연구(남)
박계리, 「정창모, 북한 미술계 서정적 표현의 대가」, 『통일한국』, 제353호, 2013 .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정창모
이미지명 : 정창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