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교훈시 [didactic poetry ]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9분류 개념
집필자 이지순
정의
교훈시는 교훈문학의 하나이다.
용례/관용구
교훈적 내용을 담은 문학작품들은 각이한 시기에 서로 다른 사조와 류파에 속하는 작가들에 의하여 창작되였으므로 이 부류의 문학을 특징짓는 공통적인 사상적지향성은 없다.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2000.
내용
북한에서 교훈시는 생활의 교훈을 간결하게 밝혀주는 시로 정의된다. 교훈적인 목적을 가진 문학은 고대부터 있어왔다. 정철의 시조 <훈민가>가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교훈시는 철학적인 의미를 형상적인 시구에 담아 짧고도 감동적인 서정토로로 밝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북한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작품들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줄 수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의의있는 사상을 밝혀냄으로써 근로자들을 혁명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별도의 문학유형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또한 교훈문학 전체를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작가들의 계급적 위치와 사상적 입장에 따라 진보적인 것과 반동적인 것이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현대시 가운데 안창만의 <시와 인생>(1985)은 교훈시의 대표로 꼽힌다. 시쓰기와 인생을 대비한 안창만의 시는 당과 수령에 대한 신념과 의지로 혁명가의 지조를 지키려는 다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관련어 교훈문학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