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서사시 [epic poet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시
9분류 개념
집필자 이지순
정의
서사시는 운문적 형식을 취하나 사건과 인간관계 및 이야기줄거리가 있으며, 시인의 서정토로와 결합한다.
용례/관용구
서사시는 일반적으로 거대한 의의를 가지는 력사적 사건이나 위대하고 영웅적인 인간의 생활과 투쟁, 업적 등을 형상하는 경우가 많다. 『문학예술사전 중』 , 1991.
내용
서사시는 서사적 방식으로 쓰여진 시의 한 형태이다. 북한에서 서사시는 운문적 형식을 취하나 사건과 인간관계가 주어지고 이야기줄거리를 가지며 시인의 서정화와 주정토로가 결합되어 있는 용적이 큰 시로 정의된다. 주인공의 성격과 사건 묘사가 시인의 정서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서사시는 서정서사시와 공통성을 가진다. 그러나 서사시는 서정서사시보다 서사적 성격이 더 강하고, 시인의 서정 토로가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사시는 민족과 국가의 운명을 짊어진 영웅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그 영웅의 투쟁과 업적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엄숙하게 서술하는 시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은 서사시 창작이 중단된 서구와 달리 북한에서 서사시가 많이 창작된 이유로 해방 후 이룩한 제반 민주개혁으로 인한 삶의 변화, 6.25 전쟁 때 발휘된 군민의 영웅적 위훈들,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한 근로자들이 장엄한 투쟁 등에 있다고 주장한다. 즉 격변하는 역사와 전형화된 인민의 영웅주의나 애국주의 등을 형상화하기 위해 시대가 요구한 것이 서사시라고 강조한다. 당대의 역사적, 정치적 현실과 새로운 삶의 양상들이 웅대한 서사시를 필연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북한 서사시의 정전으로 꼽히는 조기천의 <백두산>(1947)은 실제로 해방 후 평양에 입성한 김일성의 지배를 안정화하고 리더십을 구축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충실히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6.25 전쟁이 끝난 다음 북한은 체제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인민들을 동원하여 복구건설과 생산력 증강에 힘써야 했다. 공산주의적 새 인간형의 전형으로서 제시된 서사시 주인공들은 사회주의 체제의 정당성을 선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체문학론이 등장한 이후에는 1930년대 김일성의 항일투쟁 시기로 영웅적인 현실을 소급한다. 중세 이후 억제되어온 서사시는 1930년대 항일투쟁시기 <조국 광복회 십대 강령가>와 같은 혁명가요에서 영웅 서사시적 표현을 보이게 되었고, 해방 이후의 전변이 영웅 서사시의 창작의 사회 역사적 토대로 작용하게 되었다는 것이 북한 문헌들의 일반적인 설명이다. 사회주의 정권의 성립과 더불어 북한에 정착되기 시작한 ‘위대한 사회주의적 현실’이 서사시의 사회 역사적 토대로서 작용하게 되었으며, 서사시의 주인공이자 영웅은 노동자 농민을 비롯한 인민대중이 된 것이다. 이는 대중적 영웅주의의 개념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웅을 생산하는 동원 이데올로기로 나타난다. 주체사상이 북한 사회를 운영하는 원리로 작용하게 되면서 만들어진 송가서사시는 수령의 영웅적 풍모를 형상하면서 유일체제와 개인숭배에 기여하였다.
북한 문단 초기의 대표적인 서사시로 조기천의 <백두산>(1947), 한명천의 <북간도>(1947), 신상호의 <련대의 기수>(1956) 등을 꼽을 수 있다.
관련연구(남) 김경숙, 『북한현대시사』, 서울: 태학사, 2004.
신형기·오성호, 『북한문학사』, 서울: 평민사, 2000.
관련자료(북)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장용남, 『서정과 시창작』, 평양: 문예출판사, 1990.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0.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장용남, 『서정과 시창작』, 평양: 문예출판사, 1990.
신형기·오성호, 『북한문학사』, 서울: 평민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