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영화 보급체계 [Distributive System of Film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영상 > 영화
9분류 조직
집필자 오양열
정의
북한에서 영화 제작이 완료된 후 완성된 영화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조직된 기관과 시설 등의 유통 체계이다.
내용

직관예술인 영화는 북한에서 대중을 혁명화, 노동계급화 하기 위한 혁명교양, 계급교양, 사회주의 애국교양과 당 정책 선전, 경제선동에서 유력한 역할을 하는 매체로 인식되고 있어 대도시에서 벽지에 이르기까지 전국 방방곡곡에 영화를 보급하기 위해 국가기관이 조직적으로 보급사업에 관여한다.
영화 보급기관은 ‘영화를 통하여 사람들을 정치사상적으로, 문화정서적으로 교양하는 전문적인 영화 보급기지이며, 당 사상사업의 위력한 수단’으로서, 영화 보급계획 작성과 영화 편성 사업, 필름 배포 사업과 영화 선전 사업, 관람 조직 사업, 그리고 영화 보급원(보급일군) 양성과 기능급수 사정 등 영화 보급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기관이다.
1978년 3월 8일 김정일은 전국 영화보급 부문 일군 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인 「당사상사업의 요구에 맞게 영화 보급사업을 개선 강화할데 대하여」를 통해 영화예술의 사명과 역할에 대한 견해에 이어 보급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당 선동부(선전선동부 소속) 영화예술과가 영화 제작 지시를 하면 내각 문화성 영화총국은 관련 실무행정을 담당하고, 조선영화문학창작사,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등이 영화 제작에 착수하게 된다. 영화 제작이 완료되고 나면 영화 보급체계가 작동하게 된다.

1. 영화 보급체계
일반적으로 조선기록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하는 북한 최고지도자의 현지지도영화(이를 ‘영화문헌’이라고 한다)는 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에서 관리하며 노동자와 당원들은 의무적으로 관람해야 한다. 예술영화(극영화) 등 그 밖의 영화들은 내각 문화성 영화총국 산하 영화보급사업소의 영화보급 일꾼들에 의해 영화관이나 영화상영 시설을 갖춘 문화공간을 통해 유료로 보급되고 일부는 무료로 의무 관람하게 된다.
영화 보급사업소의 핵심 역할은 영화보급 일꾼을 동원하여 여러 장소와 시설에서 영화를 상영하고 이에 대한 감상을 효과적으로 조직하는 ‘영화 실효투쟁’을 전개하도록 하는 것이고, 영화 보급을 원활히하기 위해 영화보급 일꾼을 양성하는 한편, 이들의 근로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전국영화보급일군대회’를 개최하고 공훈영화 보급원 칭호 제도를 통해 이들을 격려하는 일이다.

2. 영화 보급 현황
북한에는 주요 도시에 3~4개소, 지방 소도시에 1개소 정도의 영화관이 있는데, 이러한 전문 영화관 외에도 생산현장 내의 영화 시설이나 시군 문화회관 등에서도 상영되고 영화 상영시설이 없는 지역에는 이동 영사대가 파견된다. 또 필요할 경우 가극, 연극, 교예 공연장(극장)에서도 영화 상영이 이루어지며, 인민문화궁전, 국제문화회관, 고려호텔 등에서도 영화가 상영된다.

3. 영화 실효 투쟁
각종 기념일과 경축일에 10일 동안 개최되는 영화 감상 주간인 ‘영화 상영순간(旬間)’이나 당의 지시에 따라 특정 영화를 의무적으로 단체 관람한 경우에는 ‘영화 실효 투쟁’이라는 모임을 갖는다. 영화 주인공의 대사를 외우는 등 영화 주인공 따라 배우기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1978년 3월 8일 김정일의 서한은 영화 보급사업에서 영화 실효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북한에서 무대공연예술에 대한 보급은 ‘국가예술공연운영국’이 맡고 있다. 이 기관은 1972년 11월 7일 통일적으로 극장 관람표를 취급하는 기관인 중앙예술보급사로 창립되었는데, 이후 점차 그 역할을 확장해 모든 예술단체들의 공연 활동과 극장 운영을 통일적으로 맡아보는 국가예술공연운영국으로 확대·개편되었다. 국가예술공연운영국은 수도의 중심거리들에 지구 분점이 조직되었고, 관람표 이동판매, 관람요금 책정, 관람 문화 확립, 중앙과 지방의 예술단체들의 공연 계획 수립, 지방 순회공연사업 조직, 출판보도물을 통한 예술선전(공연 조직 및 작품 홍보, 각종 예술 선전화들 게시 등), 중요 예술작품들에 대한 극대본·음악총보·무용표기·무대원화(舞臺原畵) 들의 발굴 정리, 대공연 의상 소도구들의 제작, 보관 관리 등 광범위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관련어 이동 영사대, 영화 실표투쟁, 영화예술과, 영화총국, 영화상영순간, 국가예술공연운영국
관련연구(남) 민병욱,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서울: ㈜살림출판사, 2012.
김용범·신현욱, 『북한의 문예이론과 문화콘텐츠 인프라』, 서울: 한양대 출판부, 20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북한 문화·체육시설 총람 2010』,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민병욱, 『북한영화의 역사적 이해』, 서울: 역락, 2005.
이춘길, 『북한의 영화산업 현황과 영화진흥정책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8.
관련자료(북) 『로동신문』, 2012년 11월 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