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정현웅 [Chong Hyonu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출판미술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1년 3월 5일
사망일1976년 7월 30일
출생지서울시 종로구 궁정동
정의
정현웅은 유화, 펜화, 연필화, 수채화, 조선화 등 여러 장르의 미술에 두루 능했던 화가이자 평론가이다.
용례/관용구
그의 화법상 특징은 묘사대상을 치밀하고 섬세하게 그리며 작품마다 고전미와 민족적 색채가 짙게 안겨오도록 형상한 것이다. 『문학예술사전 하』, 1993
내용
1932년 함경북도 경흥보통학교, 1936년 라남고등여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에 입학 우에노미술학교 교수 나카자와 히로미츠의 사실주의 화풍에 영향을 받았다. 1943년 일본대학 미술학부 유화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후 서울 경성일보사 기자로 4개월 일한 뒤, 서울여자상업학교, 용산고등미술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하였다. 6.25 전쟁 때 국립미술제작소의 초상화반에서 김일성의 초상화를 그렸다. 이후 인민군 후퇴 시기에 리석호, 정종여 등과 월북하였다. 1951년부터 내각 사무국 전속화가로 최고사령부 내부를 장식하는 초상화 및 풍경화를 제작하였다. 1952년 미술가동맹에서 활동하였다. 1968년 4월 이후 자강도 강계미술제작소, 강계수출품수예생산협동에서 활동하였다.
해방 후 수원, 서울, 광주, 목포, 군산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당시 전시된 작품들은 유화 <청진부두>(1947), <풍경>(1948), <덕수궁박물관>(1948) 등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것이었다. 이 후 조선미술가동맹에서 창작한 작품 중 유화 <새 결의>(1964), 선전화 <모두다 모내기에로!>(1968)는 전람회에서 3등을 수상하였고, 유화 <기쁜 소식>(1955), <아버지, 오늘의 생산성과는?>(1958), <묘향산박물관풍경>(1961), <남녘의 딸들>(1966) 등이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중 특히 < 1920년 서울 청운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9년에 경성 제2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29년 3월 가와바타미술학교에 입학했으나 6개월 만에 귀국하였다. 이후 간판 광고, 무대장치 등을 그렸다. 1935년 동아일보사에 취직한 뒤 평론가, 삽화가로서 활동하였다. 동아일보사가 일장기 말살사건으로 무기정간 처분을 받게 된 이후에는 조선일보사에서 해방 때까지 삽화를 그렸다. 해방 때 서울신문사가 발행하던 월간잡지 『신천지』의 편집부장으로 활동했다. 6.25 전쟁 시기에 월북하였다. 정현웅은 1945년 해방 후에 조선미술건설본부 서기장이 되었다가 조선조형예술동맹 및 조선미술동맹 간부로 활동하였다. 1950년 6.25 전쟁 시기 남조선미술동맹의 서기장, 이후 중앙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월북 이후 미술제작소 회화부장, 1951년 7월부터 1957년 2월까지 물질문화유물보존위원회 제작 사업을 맡았다. 1956년 10월 문화협정이 체결된 불가리아에 1개월 다녀와 1957년 림홍은과 2인전을 개최하였다. 1957년 조선미술가동맹 출판화분과 위원장, 1966년 이후 동맹의 미술가로 활동하였다. 말년에는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1976년 폐암으로 사망하였다.
정현웅은 서화협회 3회 입선, 1927년부터 1943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 작품 18점을 출품하여 특선 2회, 여러 차례 입선한 경력이 있다. 1931년 <여인상>으로 첫 특선, 1935년 <좌상>으로 두 번째 특선을 수상하였다. 정현웅은 유화, 펜화, 연필화, 수채화, 조선화 등 여러 장르의 미술에 두루 능했다. 특히 선묘를 이용한 섬세한 삽화로 출판미술계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어린이동화 삽화의 대표작은 수채화 <누구 키가 더 큰가>이다. 이 작품은 배경을 생략하고 주제에 집중하여 아이들의 순수한 동심을 잘 표현하였다. 월북 후 창작한 작품으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후에도 국가미술전람회, 부분전람회에서 여러 차례 입상하였고 국제도서전람회에서 삽화로 금메달을 받았다. 이외에 1960년대 중반부터 조선화 작품들을 그리는가 하면, 1952년과 1962년부터 1963년 사이 진행된 고구려고분벽화 모사작업에 참여하여 안악 제1, 2, 3호분 고분벽화, 강서고분벽화, 공민왕릉 벽화를 모사하기도 하였다. 그의 집필활동은 『조선력대도안집』의 발행과 잡지 『조선미술』에 게재된 글로 이어진다.
정현웅은 삽화, 판화, 선전화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특히 예리하고 섬세한 묘사의 펜화 및 삽화에 뛰어났다고 북한 미술계에서 평가받고 있다. 남한 미술계에서는 그가 투철한 실험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으며, 특히 ‘출판미술의 대가’로서 대중미술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새 결의> 등은 북한 미술계에서 ‘천리마운동’ 시기의 시대적 인물상을 잘 그려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1994년 국제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개인전에는 ‘국보’로 지정된 8점의 작품, 습작들, 풍경화 70여 점이 전시되었다.
관련어 만수대창작사, 국가미술전람회
관련연구(남) 최리선, 「鄭玄雄의 작품 세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
권행가, 「1950, 60년대 북한미술과 정현웅」,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21집, 2010.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31), 삽화가 출신 월북작가 정현웅, 출판미술에 획을 긋다」, 『통일한국』, 367호, 2014.
정현웅기념사업회, 『정현웅전집』, 파주: 청년사, 2011.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최리선, 「鄭玄雄의 작품 세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5 .
권행가, 「1950, 60년대 북한미술과 정현웅」,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21집, 2010.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31), 삽화가 출신 월북작가 정현웅, 출판미술에 획을 긋다」, 『통일한국』, 367호, 2014.
정현웅기념사업회, 『정현웅전집』, 파주: 청년사, 2011.
『두산백과』.

이미지

정현웅

이미지명 : 정현웅

정현웅2

이미지명 : 정현웅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