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종선 [Pak Chongso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공예 > 목공예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12년 2월 19일
사망일
1985년 2월 13일
출생지
황해남도 서흥군 서흥면 명의리 (현 서흥군 명의리)
정의
박종선은 나무의 재질을 살린 자연스러운 형태의 공예품을 제작하였다.
용례/관용구
그는 1956년부터 30여년간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과 평양미술대학에서 공예강좌장, 공예연구실장으로 있으면서 나라의 공예가후비를 키우는데 힘을 기울이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26년 흥수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남포, 원산에서 목공일을 했다. 원산의 악기함 공장 고도상회를 시작으로 1932년 갑양상회, 서울문명상점 개성점, 개성미술상회 등에서 공예공으로 일했다. 1935년 문명상점 개성점에서 전통공예품을 만들며 공예제작 기술을 연마하여 목공예 분야에서 인정받게 되었다. 해방 이후 목재노동조합 평안남도지부장, 직업총동맹의 목재노동자산별 중앙위원회 문화부장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조선미술가동맹에서 공예품을 만들었다. 박종선은 1956년부터 삼아할 때까지 평양미술대학과 평양경공업대학에서 공예를 가르쳤고, 평양미술대학 주제미술연구소의 공예연구실장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부터 1984년까지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공예분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박종선의 작품 중 다수는 가구이다. 나무의 재질을 살리고 자연 소재를 무늬로 장식하고 주변 환경에 적합한 형태 디자인을 통해 예술성과 실용성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다. 그의 대표작은 1947년 8.15 해방경축 전국예술축전 미술전람회에서 3등을 수상한 목공예 <군학병풍>이다. 이 작품은 나무병풍으로 목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북한 미술계에서 평가받는다. 일상공예품 중에서는 <참외형과실반>(1965)이 우수하다고 손꼽힌다. 1976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또한 국가적 요구에 의한 공예품 창작에 대한 성과로 김일성 표창장을 받았다. 작품 활동 이외에 대학에 재직하며 『공예총론』(1960), 『공예재료(돌공예편)』(1979), 『공예재료』(1983) 등의 공예이론서를 집필하였다. 박종선이 1948년부터 전후 1955년까지 국가적 필요에 의해 만든 목공예품은 1951년 제작된 <테블>을 포함하여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전승사적관, 혁명박물관에 소장되었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
공훈예술가
,
김일성상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박종선
이미지명 : 박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