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종식 [Pak Chongsik]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평론가
9분류 인물
집필자 김성수
출생일1913년
사망일미상
출생지전남 고흥
정의
박종식은 주체문예론의 정립 이전인 1950~1960년대에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학에 기초한 비평활동을 활발히 했던 북한의 평론가이다.
내용
전남 고흥 출신 평론가로 소련 모스크바종합대학 연구원을 졸업했다. 주요 평론으로 「신이론」(1949), 「박연암의 사실주의 문학」(1955), 「우리나라 작시체계의 운률적 기초」(1958), 「우리나라에 있어서 낭만주의 문학의 전통과 혁명적 낭만성」(1960), 「시인과 개성: 시인 민병균을 론함」(1960.8), 「우리 문학에서 주체의 확립과 민족적 특성」(1961), 「서정시와 현대성」(1961), 「항일혁명투사의 진실한 성격 창조를 위하여 제기되는 문제」(1961), 「다산의 시와 현대성」(1962), 「문학정신과 단편소설의 특성」(1962), 「계급교양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제문제」(1964), 「조국통일주제와 우리 문학」(1964), 「장편소설과 노동계급의 형상」(1964), 「새시대의 문학」(1964), 「작가와 창작적 개성」(1966) 등을 썼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비판적 사실주의의 발생」(『문학신문』 1962년 8월 28일) 등 사실주의 발생 논쟁, 민족적 특성 논쟁, 문학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논쟁 등 1960년대 비평사의 중심에 있었다. 1960년대에는 「청산리 풍경」 「뜨락또르운전사」 (1960.7) 등 시도 썼다. 1970년대 주체문예이론의 형성 이후 행적이 뜸하다가 「남조선에 유포된 구조주의 문학이론의 반동성 구호 해설」(1993)을 통해 말년까지 활동했음을 짐작케 한다. 저서로 『문학개론』(1960), 『새시대와 문학』(1964)이 있다.

이미지

박종식

이미지명 : 박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