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정종여 [Chong Chongyo]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조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4년 12월 30일
사망일1984년 12월 30일
출생지경상남도 거창군 거창면 상동
정의
정종여는 조선화로, 사군자 및 문인화 준법을 북한 화단 내에 복권시켰으며 조선화 이론과 실기의 기초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끈 교육자이다.
용례/관용구
정종여의 화풍상 특징은 조선화의 전통적 기법에 충실하면서도 현대적 미감에 맞게 발전시켜 밝고 선명하며 섬세한 형상을 창조한것이다. 선묘법, 채색법, 점묘법 등 조선화의 전채세화기법, 몰골기법으로 조선화의 특성을 살린 예술성이 높은 작품들을 많이 형상하였다. 『문학예술사전 하』, 1993.
내용
호는 청계이다. 1922년 거창 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28년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야간미술학교에서 인물초상화를 배웠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 오사카미술학교의 동양화과에서 수학했다. 미술학교 재학 시절에 그린 그림은 순수한 자연풍경이 주된 소재였다. 이후 오세창의 영향을 받아 1947년 9월까지 배재중학교 등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현실참여적인 작품을 그리기 시작한다. 6.25 전쟁 시기 월북하여 1952년 2월까지 미술제작소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52년 3월부터 조선미술가동맹에서 활동하였고 1954년 1월부터 10년 동안 평양미술대학에서 조선화를 가르쳤다. 1964년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위원장,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1978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만수대창작사 조선화단에 소속되어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51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1953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1961년 이후 문예총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정종여는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 사실적인 묘사와 사색을 통해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정종여는 <굴진>(1955), <5월의 농촌>(1956),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1958)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을 수상하였다.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는 인물 군상을 표현한 6폭 병풍이다. 휘몰아치는 눈보라를 이겨내고 전선으로 탄약과 식량을 운반해가는 늙은 노인과 여인들이 그림의 소재이다. 정종여의 숙련된 몰골법 사용은 적은 획수로 표현한 여백과 강약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정종여는 인물들의 성격을 긴장된 상황 설정 속에서 부각시키는데 그 중심에, 한 손으로 지팡이를 짚고 다른 한 손으로는 탄약 상자를 지운 황소의 고삐를 틀어쥐고 힘있게 앞장서서 걸어가는 노인이 있다. 여기서 놀라 머리를 높이 쳐든 말과 고삐를 잡아채는 다급한 행동은 전선이 매우 가까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정종여는 조선화 <용해공>(1965), <풍어>(1966) 등을 제작하는 동시에 평양미술대학의 교수로서 인물주제화 작품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일, 조선화를 채색화 중심으로 발전시키는 일에 앞장서서 조선화 화가를 양성하였다. 정종여가 사망한 이후 1986년 정관철, 정종여 2인전이 개최되었다. 이때 전시된 정종여의 작품은 60여 점이다. 평양미술대학 재직 시절 「채색화에 대하여」, 「묵화에 대하여」, 「채묵화에 대하여」, 「조선화 재료에 대한 사용법」 등의 강의 노트를 작성하는 등 조선화의 실기와 이론을 체계화하는데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정종여의 작품은 해외에도 널리 알려졌으며 그의 작품은 조선미술박물관, 조선혁명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아들 정희진 또한 조선화 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1962년 미술교육의 공로로 평양미술대학 부교수 학직을 수여받고, 미술창작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4년 공훈예술가, 1982년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정종여는 월북 1세대 화가로서 북한 화단 내의 이데올로기 논쟁에서 우위를 점한 채색화에 의해 사라질 뻔한 위기에 놓였던 수묵화 및 전통화 준법을 몰골법과 함께 복권시킨 화가이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만수대창작사, 조선화, 몰골법, 국가미술전람회, 공훈예술가, 인민예술가
동의어 청계
관련연구(남) 박계리, 「20세기 한국회화에서의 전통론」,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6.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15), 휘몰아치는 눈보라 속 전설을 향해!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 『통일한국』, 351호, 2013 .
이은주, 「청계 정종여의 작품세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6.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정종여

이미지명 : 정종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