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김만형 [Kim Manhy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16년 3월 2일
사망일
1984년 2월 8일
출생지
경기도 개성부 동본정(현 개성시 동흥동)
정의
김만형은 대담한 구도와 강한 대비의 풍경화, 주제화를 그린 유화가이다.
내용
1929년 개성 제2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경성 제1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34년 제국미술학교의 서양화과에 입학하였다. 재학 시절 손영기 등과 전람회에 유화를 출품하였다. 1939년 졸업 후 귀국하였으나 집안이 파산하여 일을 해야 했다. 이 가운데 1940년, 1943년에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해방 이후 8.15해방미술전람회, 지방이동미술전람회 등에 작품을 출품하였다. 해방 이후 조선미술건설본부 선전미술대의 제작부장, 1946년 이후 남조선미술동맹의 서기장, 중앙위원,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 6.25 전쟁 초에 국립서울미술제작소 소장으로 활동하다가 월북하였다. 이후 중앙미술제작소 회화조각부장, 1952년 11월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북도지부장을 지냈다. 1958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유화분과에 소속되어 평양, 함흥, 청진 등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동맹의 중앙위원, 상무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에 경제계획에 따라 강선제강소, 황해제철소, 철산수산사업소 등을 다녀와 이를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김만형의 그림은 대담한 구도와 강한 대비로 작품의 남성성이 두드러진다. 풍경화에서도 산의 형세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웅장함과 서사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대표작은 유화 <묘향산 설경>(1955), <개고의 초여름>(1957)이다. 또한 유화 <어로공들>(1958)에서 주제가 되는 인물들을 역광으로 처리하며 세부를 생략한 점이나, <파발리경찰관주재소 습격전투를 조직 지휘하시는 공산주의 혁명투사 김형권 동지>(1968)에서 주인공을 중앙에 배치시키고 주변 인물과 검은색과 흰색의 옷으로 대비를 이루도록 한 점에서 잘 드러난다. 논문 「원형탐구와 개성화」를 발표하기도 했다.
김만형은 웅장하고 서사적인 그림을 그렸던 화가로 작품의 대담한 구도와 강한 대비가 특징적이다.
관련어
중앙미술제작소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