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문원 [Pak Munwo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20년 1월 8일
사망일1973년 4월 28일
출생지경기도 서울시 다동 7번지
정의
박문원은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미술사의 기초를 마련한 미술사가이자 유화 화가이다.
용례/관용구
그는 미술가들을 당의 두리에 결속시키고 당의 문 예정책을 널리 선전하며 우리 나라 미술사의 기초축성을 위한 행정조직사업과 집필활동 미술작품창작의 성과로 우리 나라 미술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서울의 의사가정에서 태어나 둘째 형인 역사소설가 박태원의 영향으로 역사에 대한 취미를 가지게 되었다. 1927년 서울수송공립보통학교를 입학, 이후 서울 제1고등보통학교, 서울 연희전문학교를 다녔다. 전문학교 때 이미 한문, 일본어로 된 고서적 번역 능력을 갖추었다. 1942년 일본 동경제국대학의 미학과에 입학하였다. 해방 이후 귀국하여 서울대학 미학과를 1946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남로당 서울시 문화부 총무과장, 남조선문화단체총련맹 조직부부장, 남조선미술가동맹의 서기장으로 활동하였고, 관련활동으로 인해 두 차례 체포되었다. 이후 남조선미술가동맹의 위원장이 되었다. 1951년 조선미술가동맹 부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조선미술출판사,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에서 잡지 『조선미술』과 미술도서 및 화첩의 편집출판을 맡았다. 1961년 이후 조선미술박물관의 학예연구를 하였다.
박문원은 1961년부터 『조선미술』에 10여 차례 논문 「조선고대미술사의 기초축성을 위하여」를 연재하였다. 박문원은 역사적 고증을 통하여 삼국시대 장인들의 신분을 새로이 밝히고 이에 따라 고대 삼국미술이 일본 고대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외에 연구논문「신라의 금관」, 「고구려벽화에 나타나는 신마에 대하여」, 「안악3호무덤 행렬도의 비밀을 알아내기까지」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중요하게 평가받는 『조선로동당정책사』제33권(1970)의 「미술발전을 위한 우리 당의 정책과 그 빛나는 실현」을 부분 집필하였다. 이것은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해방 후 미술사의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도 동경제국대학 재학시절부터 꾸준히 유화를 그려왔다. 유화 <서울해방>(1954), <김책제철소복구>(1955), <삶을 찾아서>(1957), <고개길>(1966) 등이 대표적이다.
관련어 박태원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이미지

박문원

이미지명 : 박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