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박문협 [Pak Munhyop]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39년 11월 12일
사망일
1985년
출생지
평양시 삼석구역 삼석리
정의
박문협은 노동자 출신 화가로, 유화 <전후 40일만에 첫 쇠물을 뽑은 강철전사들>을 그렸다.
내용
중등교육을 마친 뒤 1958년 강선제강소에서 주물공으로 일하며 미술소조 활동을 통해 창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 시기 강선제강소에서 미술가로 활동하던 송찬형에게 미술을 배웠다. 이후 전문창작기관에서 창작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 미술가로 일하며 창작하였다.
박문협은 노동자 출신 화가로서 노동현장의 모습을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1962년 도미술전람회에서 1등을 수상한 <한마음 한뜻>,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된 <천리마의 고향 3호 로에서>(1964), <전후 40일만에 첫 쇠물을 뽑은 강철전사들>(1971) 등이다. 대표작 <전후 40일만에 첫 쇠물을 뽑은 강철전사들>은 강선제강소를 그린 유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왼쪽의 전기로에서는 쇳물이 불꽃과 화염을 쏟아내고, 오른쪽에는 많은 사람들이 파괴된 철탑 기둥들과 파철더미 위에 올라서서, 전후 40일 만에 쏟아내는 첫 쇠물을 보기 위하여 발돋움을 하고 있는 장면을 담았다. 화면 구도의 중심에 서 있는 주인공은 군중들이 환호하는 가운데, 앞가슴을 풀어 헤치고 쇠장대를 틀어쥔 채 긴장된 시선으로 쇠물을 바라보고 있다. 인물군상들은 박문협의 경험을 통해 파악된 인간관계가 반영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 작품은 북한 사회가 요구하는 계급적인 전형을 형상함으로써 인민대중들의 눈높이에서 정서적 감동을 줄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해내었다는 북한 미술계의 평가를 받았다.
관련어
조선미술박물관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