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북만의 봄 [Spring in North Manchuri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조선화
9분류 작품
집필자 박계리
시기1966년
제작자정창모
정의
정창모가 그린 <북만의 봄>은 북한 미술계에서 정치적 서정성이 잘 표현된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용례/관용구
맑고 부드러운 색채와 설레이는 수풀의 집약적인 묘사는 화면의 랑만적정서를 훌륭히 전달해주고있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정창모는 주체문예이론의 관점에서 김정일이 요구하는 풍경화의 서정성을 잘 구현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북만의 봄>은 화면 중심에는 일제시대 독립을 위해 싸운 유격대원이 물을 먹고 있는 말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고, 화면 왼쪽 위에는 숲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항일유격대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 작품이다. 작품 제작 당시에는 휴식을 하고 있는 유격대원들의 모습이 혁명의 비적극성으로 비춰져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휴식하는 모습은 그 동안 험난했던 삶의 모습을 내포하는 것이며, 눈 쌓인 풍경은 유격대원들의 험난했던 현실과 가슴 아픈 희생의 숭고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이 작품에 대한 평가가 변하였다. 북한 미술계가 특히 높게 평가하는 것은 소녀 대원의 모습이다. 소녀 대원은 미소를 머금은 밝은 표정으로 물을 마시고 있는 말을 바라보고 있다. 이 소녀는 나뭇가지에서 돋아나는 흰 눈, 새싹과 함께 낙관적인 미래, 희망을 서정성 있게 표현하였다고 해석되었다.
북한 미술계는 <북만의 봄>이 간접적이고 은유적인 방식을 통해 주제를 전달하고, 작품의 정서적 여운이 보는 이들의 감동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관련어 정창모
관련연구(남)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17), 정창모, 북한 미술계 서정적 표현의 대가」, 『통일한국』, 353호, 2013.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북만의 봄

이미지명 : 북만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