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청춘과원 [Orchard of Youth]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작품
집필자 천현식
시기1974년
제작자평양청년가극단
정의
1974년 평양청년가극단이 평양 과수농장의 성공을 소재로 만든 <피바다>식 혁명가극이다.
내용

가극 〈청춘과원〉은 본래 국립평양가무단에서 ‘김일성 탄생 60돐 경축’ 행사로 1972년 3월 24일부터 4월 14일에 열린 전국음악무용예술축전에 참가한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좋은 평가를 받고 1974년 2월 3일 평양청년가극단에 의해 <피바다>식 혁명가극으로 정식 창작 공연되었다.

- 예술단: 평양청년가극단
- 장소: 모란봉극장
- 구성: 서장, 6장, 종장
- 음악: 전면배합관현악
- 주제가: 〈어버이수령님의 해빛아래서〉
- 주인공: 성녀
- 등장인물: 창진, 김일성, 마을사람들

온갖 난관과 시련을 이겨내며 청춘과원을 세운 인민군 전사의 아내 주인공 성녀 일가와 평양 과수농장 사람들의 생활을 그렸다. <피바다>식 가극에 맞게 모든 노래를 통속적이고 인민적인 절가로 구성하였고, 방창과 주인공들의 노래를 예술의 여러 형상 수단들을 종합적으로 도입하여 극의 발전과 주인공의 성격 형상에 맞게 결합하였다. 민족악기에 양악기를 전면적으로 배합한 전면 배합관현악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관악기들을 대목마다 살려 썼다. 다른 가극에서는 필요한 대목에서만 죽관 악기(민족 목관악기)를 쓰고 현악기를 기본으로 하였는데, 이 가극의 관현악에서 5대 혁명가극 이후 제기되었던 죽관악기와 현악기의 배합 문제가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고 평가된다. 그리고 작품의 주제 사상적 내용에 맞게 무용을 여러 장면에 다양하게 도입함으로써 작품의 형상성을 높이고, 밝고 화려한 가극의 특징을 살렸다고 평가된다.
『조선예술』1974년 8호에 가극대본이 실려 있다.
관련어 피바다식 혁명가극, 평양청년가극단, 평양가무단, 절가, 방창, 배합관현악
관련자료(북) 『혁명가극 청춘과원 총보』, 평양: 문예출판사, 1977.
『가극대본집 남강마을 녀성들』, 평양: 문예출판사, 1975.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천현식, 『북한의 가극 연구』, 서울: 선인, 2013.

이미지

청춘과원

이미지명 : 청춘과원

청춘과원2

이미지명 : 청춘과원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