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혁명가극무용총보1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작품
집필자
천현식
시기
1988년 4월 25일
정의
새롭게 만든 우리식 무용표기법에 따라 혁명가극 <피바다>와 <꽃파는 처녀>의 무용을 총보 형태로 제작하여 1988년에 문예출판사에서 처음 출판한 단행본이다.
용례/관용구
편집부는 친애하는 지도자동지께서 무용예술분야에 이룩하신 귀중한 업적을 대를 이어 고수하고 영원히 빛내이기 위하여 새로운 우리 식의 무용표기법으로 혁명가극무용총보(1)을 편집 출판한다. 『혁명가극 무용총보(1)』, 1988
내용
이 책은 해당 작품의 무용보가 성부, 피아노보와 함께 수록된 무용총보이다. 북한이 개발한 무용표기법을 살펴볼 수 있다. 처음에 ‘혁명가극 <피바다> 무용 장면 무대미술 원화 및 의상 소도구’와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 무용 장면 무대미술 원화 및 의상 소도구’라는 이름으로 각 가극 무용 장면의 무대미술 원화와 의상, 소도구가 칼라 사진으로 제시되고 있다. 다음에는 머리말로 편집부에서 무용총보집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혁명가극 <피바다>와 <꽃파는 처녀>의 무용의 차례가 소개된다. 다음부터 각 가극의 무용총보가 이어진다. 각 무용별로 처음에는 해당 가극의 ‘출연인물 표식’과 ‘소도구’가 소개되고 무용총보가 이어진다. 무용총보는 혁명가극 <피바다>가 98쪽까지,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가 215쪽까지 수록되어 있고 마지막에 출판사항으로 끝을 맺고 있다.
○ 차례
불후의 고전적명작 《피바다》중에서 혁명가극 《피바다》
제1장 무용 《류랑의 노래》
제1장 무용 《아 백두산》
제3장 2경 가무 《유격대원호의 노래》
제4장 무용 《캄캄한 막장 속에》
제5장 환상무용 《광복의 새날에 다시 만나리》
제7장 무용 《총동원가》
불후의 고전적명작 《꽃파는 처녀》를 각색한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
제3장 2경 무용 《하늘중천 밝은달은 하나이건만》
제5장 1경 무용 《피눈물의 감옥살이 몇몇해이냐》
제5장 2경 환상무용 《사랑과 정성이 꽃피여나서》
종장 무용 《혁명의 꽃씨앗을 뿌려간다네》
참고자료
이호인, 『혁명가극 무용총보(1)』, 평양: 문예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