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종자론 [theory of seed; seed theor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정의
종자는 작가가 말하려는 '기본문제'가 있고 형상의 요소가 뿌리내릴 수 있는 바탕이 있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를 말한다.
용례/관용구
종자에 있어 기본은 사상에 두어야 하고 소재와 주제의 요소들은 사상적 알맹이에 의하여 제약되며 거기에 복종된다. 『문학예술사전』, 1972.
기원
문화예술 창작에서 종자란 한마디로 작가가 말하려는 기본 문제이자, 작품의 사상 · 예술적인 핵심을 말한다. 종자론은 1960년대부터 도입되었으며, 김정일의 『영화예술론』(1973)에서 공식화되었다.
변천
종자의 핵심은 사상성에 있고 사상성이란 바로 당의 정책을 정확히 반영하고 당의 노선과 정책에 철저하게 의거하여 시대가 제기하는 사회 정치적 과제에 올바른 사상적 해답을 줄 수 있는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작품을 창작할 때 시대에 맞는 작품을 창작할 수 있다고 본다. 종자론이 중요한 것은 종자의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 김일성의 교시와 그 구현인 당 정책의 요구이다. 북한에서 종자와 작품 창작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① 종자란 작품의 핵으로서 작가와 예술인들이 말하려는 기본 문제와 형상의 요소들이 뿌리내릴 바탕이 있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다. ② 작가와 예술인들은 생활에 대한 체험과 연구를 기초로 근본 문제를 형상 요소들과 유기적 연고나 속에서 골라잡아야 한다. ③ 종자는 주제와 소재에 모두 관련되는 것으로 소재, 주제, 사상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④ 종자에 있어서 기본은 사상이며 종자는 단순한 알맹이가 아니라 '사상적 알맹이'이며 소재와 주제는 이에 복종한다. ⑤ 종자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사상성과 예술성이 결합을 실현하는 것이다. ⑥ 종자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김일성의 교시와 노동당의 정책적 요구이다. ⑦ 좋은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는 사물을 정확히 바라볼 수 있는 정치적 안목이 있어야 한다. ⑧ 종자의 새로운 맛과 독창성을 보장키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⑨ 주인공의 작품화가 효과적으로 종자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자가 제기하는 기본 문제를 예술적 해명에 알맞은 위치에 놓고 성격을 뚜렷이 밝혀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종자는 수령의 유일사상을 작품에 잘 결합시켜야 좋은 작품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연구(남)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 서울: 역락, 2002.
전영선, 『북한을 움직이는 문학예술인』, 서울: 역락, 2004.
관련자료(북) 김정웅, 『종자와 작품창작』,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