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문학개관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작품
집필자 임옥규
시기1986년
제작자정홍교,박종원, 박종원, 류만
정의
『조선문학개관 』은 1986년에 간행된 북한의 문학사로 조선문학의 시초부터 1980년대 전반기까지를 시기적으로 구분하고 그 문학적 특징을 다룬다. 전체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항일혁명 투쟁시기가 분기점이 된다.
내용

『조선문학개관 』은 원시 고대부터 1980년대 전반기까지 전체적인 문학의 흐름을 개관하며 민족적 형식과 특성, 항일혁명문학 발생과 계승, 전형 창조 등을 강조하면서 주체사관에 입각하여 문학사를 서술한다. 북한 현대문학의 기점을 김일성의 ‘타도제국주의동맹’의 결성 시기인 1926년 10월로 소급하여 항일혁명 투쟁시기의 문학을 북한 현대문학의 기점으로 삼는다.
제1권은 ‘조선문학의 시초’, ‘1-7세기 전반기’, ‘7세기 후반-9세기’, ‘10-14세기’, ‘15-16세기’, ‘17세기’, ‘18~19세기 중엽’, ‘19세기 후반기-20세기 초’, ‘1910~1920년대 전반기’의 문학을 다룬다. 제2권은 ‘항일혁명투쟁시기(1926.10~1945.8)’, ‘평화적 건설시기(1945.8~1950.6), ‘위대한 조국해방전쟁시기(1950.6~1953.7)’, ‘사회주의의 전면적 건설과 사회주의의 완전승리를 앞당기기 위한 투쟁시기(1961년 이후)’의 문학을 다룬다.
『조선문학개관 』은 주제별로 문학사를 개관하는데 해방 후 현대문학에서는 시기별 문학을 시, 소설, 극문학 영화 문학 등으로 분화하여 장르별로 고찰한다.
『조선문학개관 』은 이전의 북한 문학사인『조선문학개관 상·하』(1959)와『조선문학사 』전5권(1977~1982)에 비해 문학사의 범위를 다소 폭넓게 수용한다. 그동안 배제되어 왔던 ‘신소설과 리인직, 리해조의 창작 경향’을 언급하고 이광수의 『무정』을 다루며 최남선, 김억, 한용운, 동반자 작가 심훈, 이효석, 채만식, 김소월과 백석 등의 문학적 성과를 인정하고 카프문학과 구인회 문학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한편으로는 항일혁명문학<성황당>, <피비다>, <조선의 노래> 등의 작품을 김일성이 직접 창작해서 혁명적 문학예술의 본보기를 마련했다고 주장한다.
남한에서는 『조선문학개관 』 이전의 문학사를 객관적으로 보완한 통사라는 점과 이전에 배제되었던 작가들을 복원시킨 점에 의의를 둔다. 그러나 『조선문학개관 』이 항일혁명문학을 문학사의 중심으로 다루고 주체사관에 입각하여 목적론적 입장에서 문학을 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관련어 조선문학통사, 조선문학사
관련연구(남) 강진호, 「<조선문학개관>을 통해 본 북한의 문학사 서술」, 『극동연구』, 제169집, 1993.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1.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서울: 소명, 2014.
윤재근·박상천, 『북한의 현대문학Ⅱ』, 서울: 고려원, 1990.
이형기·이상호, 『북한의 현대문학 Ⅰ』, 서울: 고려원, 1990.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서울: 나남출판, 1995.
관련자료(북) 정홍교·박종원, 『조선문학개관 Ⅰ』,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6.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Ⅱ』,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6.
참고자료 이명재,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