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문학사(1977~1981)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9분류
작품
집필자
김성수
시기
1977년~1981년
제작자
김하명·류만 외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정의
『조선문학사』(1977~1981)는 1977년부터 1981년 사회과학원 학자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5권짜리 문학사이다.
내용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서 1977년부터 1981년까지 나온 5권짜리 문학사는,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명의로 『조선문학사 제1권 고대 중세편』이 1977년 간행되었다. 박종원· 류만·최탁호의 『조선문학사 제2권 19세기말~1925』은 1980년, 김하명·류만· 최탁호·김영필의 『조선문학사 제 3권 1926~1945』은 1981년,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명의의 『조선문학사 제4권 1945~1958』은 1978년, 같은 집체작으로 『조선문학사 제5권 1959-1975』이 1977년 간행되었다.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이론에 따라 김일성의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전통과 수령론의 잣대로 우리 문학사를 재단비평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고대 중세문학에서는 봉건통치배의 문학이라 하여 대다수 한문학과 시조 및 악장문학, 판소리 등을 상당량 삭제하고 근현대문학에서는 민족주의 계열의 부르주아문학을 배제하고 김일성과 관련이 별로 없는 진보적 문학까지 연관관계를 강조한다. 기존의 문학사 상에서 배제된 빈 부분은 김일성의 빨치산 투쟁에서 만들어진 혁명적 문학예술로 채워졌다. 그러다보니까 근대 전환기에는 이인직, 이광수를 빼고 신소설과 신체시 대신 김형직, 강반석의 문학으로 절반을 채우고 일제 강점기에는 우파 순수문학을 배제하고 빨치산 문예를 과잉 서술하였다. 심지어 카프의 프로문학도 림화 등 남로당계를 빼고 김일성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는 문학만 서술하였다. 따라서 근현대문학의 주류를 김일성 가계(家系)에서 찾는 등 이데올로기적 정치 편의적 동인이 문학사 서술에 일방적으로 관철된다. 1959년 문학사에 비해 서술이 체계화되고 풍부해졌지만 ‘인민성’, ‘당성’, ‘반침략 애국주의’의 서술 원칙이 과도하게 자의적으로 적용되어 결과적으로 인민적이며 진보적인 문학사의 지형을 대폭 축소 왜곡하고 말았다.
관련어
조선문학사(1956)
,
조선문학통사(1959)
,
조선문학사(김일성대학본
,
1971~1982)
,
조선문학사(1991~2012)
,
김하명
,
류만
,
최탁호
,
김영필
,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관련연구(남)
민족문학사연구소,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1.
민족문학사연구소 남북한문학사연구반,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서울: 소명출판, 2014.
참고자료
『조선문학사 5』 , 서울: 열사람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