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피바다>식혁명가극 [Sea-of-Blood style revolutionary oper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시기1971년
정의
1971년 가극혁명 사업의 본보기로 혁명가극 <피바다>가 시연된 이후 혁명가극 <피바다>를 본보기로 하여 만들어진 공연작품 일체를 일컫는 용어이다.
내용
1970년대에 이르러 그동안 영화를 중점 지도하던 김정일이 연극을 비롯한 공연예술 지도에 나서면서, ‘시대의 요구’를 명분으로 기존의 공연과는 다른 새로운 형식의 공연예술 창작을 강조하였다. 김정일은 김일성이 항일혁명투쟁 과정에서 직접 창작했다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새로운 형식의 가극을 창작할 것을 지시하였으며, 첫 번째로 선택된 작품이 <피바다>였다. 1971년 <피바다>를 북한식 혁명가극으로 무대에 올려 <피바다>를 기존의 형식과는 다른 온전한 ‘우리식 혁명가극’으로 규정하면서, 이후로는 모든 공연예술은 <피바다>의 창작 방식을 따르도록 하였다. 이후 <피바다>의 창작 방식을 모범으로 한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1971),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1972), 혁명가극 <밀림아 이야기하라>(1972),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1973) 등의 5대 혁명가극이 연이어 창작되면서, 혁명가극 <피바다>는 공연예술의 전형으로 구체화되었고, ‘<피바다>식혁명가극’이라는 용어도 자리 잡았다.
관련어 민족가극
대응어 혁명연극
관련연구(남) 박영정, 『북한 연극/희곡의 분석과 전망』, 서울: 연극과 인간, 2007.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서울: 고려원, 1990.
한국비평문학회, 『북한 가극, 연극 40년: 5대 성과작을 중심으로』, 서울: 신원문화사, 1990.
천현식, 「북한 가극의 특성과 변화: 혁명가극에서 민족가극으로」, 박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관련자료(북) 최석, 『5대 혁명가극 노래집 』,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8.
최경수·김용세, 『가극과 연극감상』, 평양: 문예출판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