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당의 참된 딸 [True Daughter of The Party]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작품
집필자 전영선
시기1971년
제작자조선인민군협주단
정의
1971년에 조선인민군협주단에서 창작하여 무대에 올린 5대 혁명가극 중 한 작품으로, 6.25 전쟁을 배경으로 인민군 소속 간호원의 활약상을 그린 작품이다.
내용
1971년에 조선인민군협주단에서 창작한 6장으로 구성된 혁명가극이다. 6.25 전쟁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군대에 소속된 간호원 강연옥의 활약상을 그린 작품이다. 강연옥은 실존인물이라고 한다. 강연옥은 당에서 부상병들을 후방기지로 후송하라는 임무를 받고는 수 차에 걸친 고비를 넘기면서 목숨을 걸고 중환자들을 후방으로 후송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장렬한 최후를 맞는다. 이런 줄거리를 통해서 당원의 임무와 김일성에 대한 절대적 충성을 강조한다. 김정일은 1971년 11월 18일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의 창작과 관련하여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 창작 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을 통해 구체적인 창작 방식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김정일은 실무지도와 관련하여 가극에서는 군민관계를 새로 넣고 잘 형상해야 하며, 계급성, 인민성이 표현되어야 한다는 점을 전제한 다음 새로운 장면들과 기존의 장면들을 더 다듬을 것과 함께 무용과 가무도 더 삽입하며, 길고 지루한 감을 주는 장면들을 좀 더 정리해서 관중을 계속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등의 지침을 내렸다. 혁명가극 <당의 참된 딸>을 창작한 조선인민군협주단은 이 작품을 계기로 위상이 한 단계 더 높아졌다.
관련어 혁명가극, 5대 혁명가극, 조선인민군협주단
관련연구(남) 박영정, 『북한 연극/희곡의 분석과 전망』, 서울: 연극과 인간, 2007.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서울: 고려원, 1990.
한국비평문학회, 『북한 가극, 연극 40년: 5대 성과작을 중심으로』, 서울: 신원문화사, 1990.
천현식, 「북한 가극의 특성과 변화: 혁명가극에서 민족가극으로」, 박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관련자료(북) 최석, 『5대 혁명가극 노래집 』,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8.
『혁명가극선곡집』, 평양: 문예출판사, 1973.

이미지

당의 참된 딸

이미지명 : 당의 참된 딸

당의 참된 딸2

이미지명 : 당의 참된 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