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문화어 [cultured Korean languag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시기
1966년 5월 14일
정의
평양어를 표준으로 하는 북한의 표준어를 일컫는 용어이다.
내용
북한에서는 문화어를 ‘김일성의 현명한 영도와 당의 언어정책에 의해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 우리 민족어의 전형’이라고 규정한다. 북한에서는 언어를 민족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이라고 보면서 언어의 순수성을 강조하였다. 언어에 대한 문제가 나왔을 때 ‘언어가 달라지면 서로 알아보지 못하게 된다’면서 새로운 언어 표준을 제정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1966년 5월 14일 언어학자들과 한 담화인 「조선어의 민족적특성을 옳게 살려나갈데 대하여」에서 표준어로 사용하는 서울말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언어표준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서울말이 ‘남존여비사상과 썩어빠진 부르주아적 생활이 지배하는 말’, ‘고유한 우리말은 얼마 없고 영어, 일본말 한자어가 섞인 잡탕말’이라고 비판하면서,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서는 사회주의적 민족문화가 꽃피는 혁명의 수도 평양의 아름다운 말을 표준어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계기로 북한에서 평양말을 표준으로 하는 문화어가 생겨났다. 이후 북한에서는 문화어를 중심으로 ‘말 다듬기 사업’을 통해서 언어의 민족성을 강조하면서, 제국주의의 문화침투를 막아내기 위해서도 우리말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듬은 우리말을 쓰지 않고 불필요한 외래어와 우리 식이 아닌 말을 가지고 언어생활을 하게 되면 민족어의 순결성을 지켜낼 수 없게 되며 우리 내부에 자본주의적 생활풍조를 유포시키려는 제국주의자들의 사상 문화적 침투도 막아낼 수 없게 된다”는 논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