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정극 [legitimate dram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시기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정립된 시기에 등장
정의
정극적인 것, 즉 아름다운 것, 고상한 것, 영웅적인 것과 같은 다양한 미적 속성을 체현하고 있는 인물의 성격과 생활을 생활 그대로의 모습으로 그려 보이는 연극의 한 종류이다.
기원
역사적으로 볼 때 정극은 비극이나 희극에 비하여 뒤늦게 발생했는데, 그 이유를 북한의「문학예술대사전(DVD)」(2006)은 “계급사회의 온갖 사회적 모순을 반대하여 목적의식적으로 능동적으로 투쟁할 사회적 력량이 성숙되지 못하였고, 따라서 정극의 주인공으로 내세울 만한 긍정적 인간들이 전면적으로 배출되지 못하였고 극예술이 다양한 생활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하지 못하였던 사정과 관련된다.”고 해명하면서, 정극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극의 형태로 정립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변천
혁명가극 <피바다>,<한 자위대원의 운명>, 혁명연극 <혈분만국회>, <승리의 기치따라>, <붉은 선동원>, <내 고향> 등이 정극의 좋은 예이다.
내용
정극에서의 주인공과 스토리는 고정되어 있는데, 선진적 이상을 체현한 긍정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새 것을 위한 그들의 투쟁이 반드시 승리하는 것으로 그린다. 간혹 정극이 부정인물을 내세우는 경우도 있으나 극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 인물이 점차 개조되어 나중에는 긍정인물로 되며, 결국은 투쟁에서 승리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정극은 극적 정서의 색채에 있어 비극이나 희극과 구별되는데, 비극에서 주된 감정이 비장성이고 희극에서 주되는 정서가 낙천성이라면 적극에서 주되는 정서는 숭엄함이다. 정극은 숭고한 감정색깔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그것을 다양한 생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정극에서 그려지는 갈등은 사회관계의 기본모순에 따라 외적으로 격렬하게 나타날 수도 있고, 내적으로 심각하게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정극은 첨예하고 격렬한 극적 긴장 관계 속에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극작품의 종류로는, 사람들을 혁명 투쟁에로 불러일으키는 것, 사람의 사상개조과정을 극적으로 깊이 있게 그린 심각한 것, 사람의 마음속을 파헤치는 심리적인 것, 밝고 명랑한 정서로 넘치는 서정적인 것 등이 있다.
북한에서 정극이란 비극과 희극을 제외한 연극 장르를 말하는데, 희비극적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희비극적 요소, 정극적 요소 등 다양한 미적 속성을 지닌 인간 생활을 부분적이 아니라 전일적으로 반영하여 묘사하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극이나 희극에 비해 생활 반영의 범위가 훨씬 넓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남한에서 정극(正劇, legitimate theatre)은 대중연예나 코믹한 버라이어티쇼와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주로 ‘정통연극’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특히 남한에서는 연극을 형태상으로 비극, 희극, 희비극, 소극(笑劇), 멜로드라마 등으로 나누고 있어, 북한의 ‘정극’에 대응하는 용어를 찾기 어렵다.
관련어 비극, 희극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