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바탕글 [stage directi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정의
연극에 나오는 인물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등장과 퇴장, 시간, 장소 등을 제시하는 설명문이다.
내용
희곡의 표현형식에는 기본 형상수단으로서의 대사와 보조적 형상수단으로서 설화와 가사, 바탕글 등이 있다. 그리고 생활을 반영함에 있어서 막, 장, 장면을 구성단위로 하는 표현형식이 있다.

희곡의 보조적 형상수단의 하나인 바탕글은, 보통 삼각부호 또는 괄호 안에 쓰게 된다. 희곡에서 바탕글은 때와 장소, 무대장치 및 배경, 인물의 등장과 퇴장, 음악과 노래의 시작과 끝, 의상과 소도구의 이용, 조명관계, 음향효과 처리, 인물의 표정과 동작의 변화 등을 제시해 준다.
바탕글은 간명하면서도 설득력 있게, 그리고 사물 현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중요하다. 바탕글은 비록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작품에서 부차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문장도 단순하지만, 생활을 현실 그대로 그려내고 작품의 예술적 형상을 높이는데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역할을 한다.
김정일은 “영화문학에서는 인물의 행동과 내면세계를 묘사하는 바탕글이 기본형상 수단이 되지만, 희곡에서는 바탕글이 인물의 등장과 퇴장, 시간, 장소를 제시해주는 보조적인 형상수단으로"(『김정일선집 9』, 210쪽)이라고 하였다.
남한에서는 희곡에서 해설과 대사를 뺀 나머지 부분의 글을 지문(地文, 바탕글, 바닥글이라고도 함.)이라 하는데, 인물의 동작, 표정, 심리, 말투 따위를 지시하거나 서술하게 된다.
관련어 희곡
동의어 지문, 바탕글, 바닥글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