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연극연출 [stage directi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연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정의
종합예술인 연극작품 창작에서 희곡, 연기, 무대미술, 연극음악 등 연극 형상에 들어가는 모든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전일적 형상을 만들어 내는 작업이다.
용례/관용구
연출은 창조의 예술이며 령도의 예술입니다. 김정일『김정일선집 9』, 2011.
내용
연출이라는 말은 본래 배우의 연기(演)를 이끌어낸다는(出) 뜻에서 나왔다. 따라서 연출이라는 개념에는 모든 형상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전일적 형상을 창조한다는 뜻과 함께 모든 예술가들을 하나의 전일적 형상 창조에로 이끌어 간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종합예술인 연극은 희곡, 연기, 무대미술, 연극음악 등 여러 형상부문들의 유기적인 결합과 통일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창작과정 전반의 중심에 서서 모든 형상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통일시켜 하나의 전일적인 무대적 화폭을 창조하는 사업이 연극연출이며, 그것을 맡은 사람이 연극연출가이다.
연극연출가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자면 도식과 교조를 배격하고 새롭고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개척해 나가야 하며 창조집단의 힘과 지혜를 높이 발양시켜야 한다. 특히 연출가는 생활을 미학적으로 파악하는 일반적인 원리와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희곡의 문학적 형상을 분석하는 원리와 그것을 무대의 특성에 맞게 다시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야 하며, 다양한 형상수단과 형상수법을 쓰는 묘리를 체득하고 있어야 한다.
연극연출은 ① 앞으로 만들 연극의 설계이자 의도하는 형상과제로 모든 창조성원들을 통일적으로 이끌어갈 창작계획인 ‘연출의 구상’, ② 구상단계에서 상상 속에 있던 연극형상을 글로 옮겨 놓은 연극의 총 설계도인 ‘연출대본의 작성’, ③ 개별적인 창작가, 예술인들의 창조활동을 조화시켜 전일적인 형상을 창조하기 위한 ‘형상 지도’(배우연기지도, 무대미술형상지도, 음악형상지도 등)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연출에서 기본은 공간 조직과 감정 조직을 잘하고 배우가 연기를 잘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공간 조직은 사건과 생활이 벌어지는 자연환경과 생활환경, 인물의 배치와 움직임 등 공간적인 모든 요소들을 연극적으로 엮는 것을 말하고, 감정 조직은 인물들 사이, 연극작품과 관중 사이의 감정의 연계를 짜나가는 형상작업을 말한다.
연출은 연극을 공연하기 위해 희곡(대본)을 연구·해석하여 연출계획(연극대본, regie buch)을 세우고, 배역(cast)을 선발·결정하며, 무대미술·조명·소도구·의상·효과·무대감독 등 연출 스태프(staff, 무대예술가)를 편성하여 모든 참가자들이 통일(계획)된 작품을 창조해 내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을 말한다(『문학비평용어사전』‘연출’ 항목).
서구에서 연출이 독립된 하나의 직능으로서, 또는 예술로서 사회적으로 공인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엽으로, 그 이전에는 대본작가 또는 주역배우가 연출의 기능을 겸해 수행했다.
연출자의 기능은, 첫째 희곡의 내용과 주제를 관객에게 최대한으로 전달·이해하도록 하는 일, 둘째 무대의 모든 요소를 처리할 수 있는 공장(工匠)으로서의 기능, 셋째 공연을 위해 협동작업을 하는 많은 사람들을 이끌어 가는 통솔 기능, 넷째 사무가로서의 기능 등 네 가지가 있다(『국어국문학자료사전』, ‘연출’ 항목).
연출과정의 대부분은 연습시간이 차지하게 되는데, 연습은 원작(희곡)의 낭독, 배역의 성격 찾기, 각자의 동작붙이기, 장면 장면의 구성, 무대연습, 총연습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오늘날 연출이라는 말은 연극뿐 아니라 무용, 영화, 방송극(TV·라디오 드라마)에서도 프로듀서 디렉터라는 용어와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관련어 연출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국학자료원 편,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2006.
한국사전연구사 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