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청년문학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매체 > 월간 > 문학
9분류 매체
집필자 남원진
시기1956년 3월 5일~현재
제작자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정의
『청년문학』은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이다.
용례/관용구
≪청년문학≫ 잡지에는 창간호부터 시작하여 우리 문학사에 빛나는 흔적을 남긴 작가들과 작품들이 실렸다. 최길상, 「위대한 당의 령도따라 선군문학후비육성의 풍만한 대지를 더욱 기름지게 하자」, 『청년문학』, 11호, 200.
내용
1953년 9월 26~27일 제1차 전국작가예술가대회에서는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이 해산되는데, 조선문학동맹은 조선작가동맹으로 개편됐다. 조선작가동맹의 주요 기관지는 1953년 10월 25일 출판된 『조선문학』(책임주필: 김조규), 1956년 3월 5일 출간된 『청년문학』(책임주필: 엄호석), 1956년 12월 6일 발행된 『문학신문』(주필: 윤세평) 등이 있다.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청년문학』은 엄호석을 책임주필로 1956년 창간된 후 현재까지 발간되고 있는데, 신진 작가들이나 문학애호가들, 문학통신원들이 창작한 작품을 소개되는 한편 작품 창작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자료를 제공하며, 현역작가들의 작품 지도평이나 창작 수기들을 수록하는 문학예술 전문지이다. 1956년 3월 5일 창간한 『청년문학』은 책임주필 엄호석, 편집위원에는 박팔양, 윤세평, 황건, 김북원, 박태영, 서만일, 윤시철, 김명수, 탁진, 송고천 등으로 구성됐다. 1956년 10월 14일~16일 제2차 조선작가대회에서 『청년신문』 주필 엄호석, 부장 리맥, 편집위원에 엄호석, 김상민, 리맥, 리효운, 윤두헌, 최창섭, 한태천 등으로 재구성됐다. 『청년문학』은 1956년 3호(창간호)에서 1956년 12호(10호)까지 발행된 후, 1957년 1호․2호가 잠시 발간 중단되었다가, 1957년 3호(11호)부터 재발간되었으며, 1968년 2호부터 다시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1970년 4호부터 복간되어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다.
관련어 조선작가동맹
관련연구(남)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북한연구소, 「북한의 대표적 청년 문학지 ‘청년문학’」, 『북한』, 418호, 2006.
남원진, 『이야기의 힘과 근대 미달의 양식』, 광명: 경진, 2011.
남원진, 「북조선 소설 연구를 위한 제언」, 『돈암어문학』, 26호, 2013.
남원진, 「북조선 시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현대문학연구』, 41호, 2013.
관련자료(북) 김병훈, 「문학예술을 대중화할데 대한 우리 당의 방침의 독창성과 위대한 생활력」, 『청년문학』, 400호, 1992.
최길상, 「위대한 당의 령도따라 선군문학후비육성의 풍만한 대지를 더욱 기름지게 하자」, 『청년문학』, 600호, 2008.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21』,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참고자료 남원진, 『이야기의 힘과 근대 미달의 양식』, 광명: 경진, 2011.
남원진, 「북조선 소설 연구를 위한 제언」, 『돈암어문학』, 26호, 2013.
남원진, 「북조선 시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현대문학연구』, 41호, 2013.

이미지

청년문학 사진(2)

이미지명 : 청년문학 사진(2)

청년문학

이미지명 : 청년문학

청년문학

이미지명 : 청년문학

청년문학 표1

이미지명 : 청년문학 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