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선건축 [Korean Architectur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매체 > 계간 > 미술
9분류 매체
집필자 홍지석
시기1980년대 후반~ 현재
제작자조선건축가동맹 중앙위원회 『조선건축』 편집위원회
정의
『조선건축』은 조선건축가동맹 중앙위원회에서 연 4회 발행하는 건축분야 전문잡지이다.
내용

1987년 창간된 『조선건축』은 1990년에 누계10호(1990년 제1호), 2005년 누계50호(2005년 제1호)를 발행했다. 2014년 12월에 누계89호(2014년 제4호)를 발행했다. 『조선건축』은 조선건축가동맹 중앙위원회 『조선건축』편집위원회의 이름으로 발행된다. 2014년 현재 편집위원회 의장은 심영학, 부위원장은 황재평이며 그 외 편집위원은 김응관, 량봉진, 방세영, 리철호, 김태웅, 전경범, 류재웅 등이다.
발행 초기에 해당하는 1990년대 초에 『조선건축』의 지면구성은 다음과 같다.

1)사설
2)주체건축의 빛나는 력사를 더듬어
3)공공건축
4)산업건축
5)설계의 현대화, 과학화
6)도시건축
7)살림집 건축
8)민족건축사의 갈피에서
9)창작소개
10)단신과 상식

이러한 구성은 『조선건축』이 건축사 연구, 현대 건축담론과 실천에 대한 검토와 홍보, 대중교양 등 여러 목적을 동시에 수행하는 종합잡지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2005년 제1호로 발행된 『조선건축』(누계50호)에서는 이전까지 다소 산만했던 지면구성이 다음과 같이 정비되었다.

1)건축, 사상과 이념
2)건축, 주체성과 민족성, 현대성
3)건축, 질, 기량, 실무
4)민족건축, 전통과 혁신

이러한 구성은 2013년 제3호(누계 8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되었다.

1)건축 주체성, 민족성, 현대성
2)건축, 조형화, 예술화
3)건축, 질, 실무

그러나 좀 더 최근에 『조선건축』의 지면 구성에는 ‘민족’, ‘주체’ 등의 개념이 사라진다. 일례로 2014년 제4호(누계89호)를 보면 다음과 같다.

1)당의 독창적인 선편리성, 선미학성, 선후대관의 원칙을 철저히 관철하자
2)모든 건축물을 성격과 사명, 특성에 맞게,
)건축과학기술을 빨리 발전시키자
4)건축, 전통과 혁신

이러한 구성상의 변화는 이념, 이론보다 가시적인 실천을 건축의 전면에 내세우려는 의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건축』은 다른 북한매체에 비해 잡지의 형식적, 질적 측면을 상당히 신경 쓴 모양새다. 양질의 종이에 다수의 컬러도판을 아우르는 『조선건축』의 질은 북한잡지 가운데 최상급에 해당한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건축』 이 북한건축의 대내외 홍보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을 반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