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계급교양 [class education]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박태상
시기
1956년 10월
정의
계급교양이란 북한주민들에게 노동계급의 계급적 요구와 이익을 철저하게 옹호하는 계급의식을 높여주기 위한 사상교양 방법을 말한다.
용례/관용구
작가, 예술인들은 계급 교양을 주제로 한 작품들과 조국해방전쟁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더 많이 창작하여 근로자들과 자라나는 새세대들이 제국주의의 반동성과 부패성, 침략적 본성을 똑바로 인식하게 하며 착취계급을 끝없이 미워하고 전쟁관점을 바로 가지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김정일선집』, 1992.
기원
북한에서 계급교양이란 공산주의 교양의 중요한 내용으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위한 투쟁의 전 기간 동안 중요하게 틀어쥐고 심화시켜 나가야 할 사업이라고 강조한다. 김일성이 1956년 10월 「공산주의 교양에 대하여」라는 문건을 발표하고, 계급교양이란 “사람들 속에서 지주, 자본가 계급을 미워하고 자본주의 제도를 반대하며 노동계급의 이익을 옹호하고 사회주의 전취물을 수호하는 계급적 의식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고 한 교시에서 시작되었다.
김일성은 1958년 11월 전국 시군당위원회 선동원들을 위한 강습회에서 연설 「공산주의 교양에 대하여」를 강연했는데, 그 골자는 첫째, 공산주의 교양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와 비교하여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우월성을 잘 알려주는 것이고, 둘째, 새 것은 반드시 승리하고 낡은 것은 멸망한다는 진리를 알려주는 것이며, 셋째, 근로자들을 집단주의 정신으로 교양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넷째,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정신으로 교양하는 것이고, 다섯째, 사람들이 노동을 사랑하도록 교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내용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과정은 노동계급의 요구대로 자연과 사회와 인간을 개조하여 온 사회를 노동계급화하는 과정이므로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계급교양을 강화하여야 사람들을 혁명화, 노동계급화할 수 있으며 혁명과 건설에서 노동계급의 혁명적 입장을 단단하게 고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남한을 강점한 미국제국주의와 그 하수인들을 비롯한 계급적 원수들과 직접 맞서 혁명을 하는 조건에서 계급교양에 커다란 힘을 넣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지난날 착취와 압박을 받아보지 못하고 간고한 혁명투쟁의 시련을 겪어보지 못한 새 세대들 속에서 계급교양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계급교양에서 중요한 것은 근로자들과 청소년들을 확고한 노동계급적 관점, 노동계급의 혁명적 세계관으로 튼튼하게 무장시키는 것이 관건이라고 본다. 그 이유는 그들이 제국주의와 착취계급, 착취제도를 끝없이 미워하고 그것을 반대하여 비타협적으로 투쟁하도록 교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자라나는 새 세대들에게 제국주의의 침략적, 약탈적 본성과 지주, 자본가 계급의 착취적 본성, 자본주의 제도에 비한 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을 철저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계급교양의 핵심 요체라고 설명한다. 즉 부르주아 반동사상과 온갖 기회주의 사상을 반대하여 강력한 투쟁을 벌리도록 교양하는 것이 바로 계급교양이라는 것이다.
김정일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소설창작전투를 활발하게 펼칠 때, 소설의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계급교양 주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적이 있다.
한마디로 계급교양은 사회주의가 자본주의보다 우월하다는 점을 근로자와 새 세대들에게 고취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1989년 이후 동구권의 변혁이후 우리식 사회주의를 고수하면서 얻은 고질적인 가난과 고난의 행군을 형식적인 이론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어
계급성
관련연구(남)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1997.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4』,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1996.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평양:『김정일선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