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부르주아문학예술 [bourgeois literature and art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박태상
정의
북한에서 부르주아 문학예술은 인민 대중의 혁명 의식을 마비시키는 개인주의적 반동 문학을 의미하며, 자본가계급의 이익을 대변하고 제국주의와 부르주아에게 복무하는 문학예술을 말한다.
용례/관용구
우리에게는 혁명에 어긋나고 인민의 전진운동을 가로막는 부르죠아문학예술이 잠시도 발붙일 곳이 없으며 로동자, 농민에게 복무하는 혁명적 문학예술을 위하여서만 끝없이 광활한 무대가 열려져있습니다. 『김일성선집 27』.
내용
북한에서 자본주의 사회 계급 모순, 부르주아적 잔재 청산을 위해서 노동계급성과 인민성이 중요한 개념이다. 부르주아의 모순을 척결하고 제국주의 시대 모순과 사회주의의 내부에 있는 많은 낡은 잔재를 청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문학예술에서 이를 표현해야한다고 주장하면서 언급한 개념이다.
부르주아 문학예술은 제국주의자들과 지주, 자본가들이 인민들, 특히 젊은 청년들의 계급의식을 무디게 하며 그들을 자기들에게 순종하도록 만들기 위하여 지어낸 반혁명적이며 반인민적인 문학예술이다. 이들 문학예술은 자본주의 제도의 반동성을 미화분식하고 착취와 압박, 침략과 약탈을 정당화하는 데 적극 복무한다는 것이다. 부르주아 문학예술은 자연주의, 예술지상주의, 형식주의, 퇴폐주의, 모더니즘 등 잡다한 부르주아 문예조류를 통해 나타난다고 본다.
부르주아 문예조류들은 이러저러한 관념론적 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문학예술창작에서 현실을 왜곡하고 부르주아 사상을 설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르주아 문학예술 조류들은 모두가 시대와 인민의 지향과 요구를 떠난 반사실주의적인 문예조류들이며 혁명투쟁을 반대하고 제국주의와 착취계급에게 복무하는 반동적 문예조류들이라고 말한다. 이 부르주아 문학예술조류들의 해독성은 인민들의 혁명의식을 마비시키고 그들의 사회적 재부를 위한 고상한 투쟁에서 물러서게 하는 데 있으며 사람들 속에 부르주아 사상과 생활양식을 유포시키며 그들을 부화타락하게 만드는 데 있다고 비판한다.
관련어
형식주의
,
모더니즘
,
퇴폐주의
,
탐미주의
,
유미주의
,
순수예술
,
자연주의
,
예술지상주의
대응어
사회주의 문학예술
,
혁명적 문학예술
동의어
자본주의 문학예술
,
부르죠아 문학예술
,
부르주아 문학예술
관련연구(남)
박태상,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1.
관련자료(북)
백과사전출판사 편, 『조선대백과사전 11』,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1999.
참고자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