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산인간 [alive human being]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이론-공통 > 이론 > 개념
9분류
개념
집필자
박태상
시기
1973년 ~
정의
'산인간'은 현실에서와 같이 숨 쉬고 사고하며 행동하는 인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마디로 자주성, 창조성 그리고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를 말한다.
용례/관용구
문학은 산인간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 김정일, 『영화예술론』,1973
기원
김정일이 『영화예술론』에서 “문학은 인간학이다. 산 인간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고 말한 후 북한의 여러 문예이론서에 언급되기 시작했다.
내용
문학이 ‘산인간’을 그린다는 것은 현실과 문학의 관계, 묘사대상과 그 예술적 형상의 측면에서 문학의 본성을 밝힌 것이며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 것은 문학의 사명, 인간생활에서 그것이 노는 기능과 역할의 측면에서 문학의 본성을 밝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산인간’이란 주체사상에 젖은 주체적 인간을 의미한다.
주체사상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사상을 압도하는 것은 바로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철학적 원리에 기초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여기에서의 주체적 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를 의미한다.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이 ‘산인간’을 그린다는 것은 자주적이고 창조적이며 의식적인 활동과 투쟁을 통하여 자연을 개조하고 사회를 발전시켜 나가는 사회적 존재, 세계의 주인이며 역사의 창조자인 사람과 그 생활을 생동하고 진실하게 형상하는 것이며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 것은 사람을 자주적인 사상의식과 창조적 능력을 가진 참으로 힘있는 존재로 키우며 세계의 주인으로서 사람의 지위와 역할을 더욱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말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관련어
주체의 인간학
,
주체적 인간학의 정립
동의어
공산주의적 인간학
관련연구(남)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서울: 깊은샘, 1999..
관련자료(북)
김정일, 『영화예술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한중모, 『주체적문예리론의 기본』, 평양: 문예출판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