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우화 [fabl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9분류
개념
집필자
이영미
정의
우화는 인간생활에서 교훈적인 의미를 가진 문제를 비유적인 방법으로 보여주는 짧은 형식의 문학작품으로 부정의 폭로와 그에 대한 풍자, 웃음의 정신이 그 형상화의 기본조건이다.
용례/관용구
우화는 일반적으로 의인화된 동물이나 식물과 그밖의 사물을 통하여 이러저러한 인간들의 성격과 생활을 예술적으로 재현하며 사회현실에서 나타나는 부정적현상을 비판하거나 잘못을 깨우쳐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변천
리원우는 1956년 국립출판사에서 나온 『아동 문학 창작의 길』에서 벨린스키의 “풍자로서의 진정한 하나의 시의 족속”이라는 그의 우화 정의를 제시하면서, 서정적 토로와 서사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서정 서사시적 풍자시로 우화를 규정하였다. 더불어 산문적 우화에서도 역시 폭로와 풍자, 웃음의 정신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리원우는 우화가 작가의 결론과 비판정신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특히 동화와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내용
낡은 사상 잔재를 뿌리 뽑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우화는 의인화의 수법과 과장의 수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문학장르이다. 우화에 나오는 동물이나 무생물들은 사람들의 특성을 지니면서 그 생활세계를 보여준다. 우화는 여러 면에서 동화와 비슷하지만, 부정에 대하여 예리한 비판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동화와 다르다. 그리고 부정인물을 통하여 교훈적 가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동화와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화에서 중요한 웃음은 낡고 부정적이며 추악한 것에 대한 신랄한 풍자에서 오는 웃음이며 이를 조소하고 야유하는 통쾌한 웃음이다. 이 웃음에 기반한 풍자와 해학이 우화의 주된 형상화 방법이다.
관련어
풍자
,
동화
,
리원우
관련자료(북)
리원우, 『아동 문학 창작의 길』, 평양: 국립출판사,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