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우치선 [U Chison]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공예 > 도자기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9년 11월 2일
사망일2003년
출생지평안남도 강남군 상암리
정의
우치선은 고려청자를 재현하여 현대적으로 계승한 도자 공예가로, 북한에서 ‘도자기 왕’으로 불렸다.
용례/관용구
그의 작품들은 은근하면서도 깊이있고 아름다운 색조와 세련된 형태, 독특한 장식기법 등으로 하여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에 진귀한 보물로 알려져있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31년 상암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해방 때까지 송림도자기공장, 개성고려자기공장에서 견습공, 기능공으로 일했다. 1945년 9월부터 송림도자기공장의 기술지도원, 공장장을 거쳐 이후 남포 도자기 공장 공장장이 되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공장을 복구하고 운영하였다. 1955년부터 선교도자기공장의 실장으로 고려청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981년 9월부터 만수대창작사에서 활동하였다. 2003년 사망 후 애국열사릉에 묻혔다. 자녀 우복단, 우철룡도 만수대창작사 도자기 창작단에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우치선은 임사준과 함께 김성택의 제자이다. 우치선은 고려청자의 기술을 복원하는 데 있어 소재와 무늬를 넣는 기법, 소성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950년대부터 시작한 고려청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1960년대에 도자공예를 창작하였다. <청자국화무늬단지>(1964)를 첫 작품으로 단지, 꽃병 등을 국가전람회에 출품하였다. ‘제11차 국가미술전람회’와 1975년 경성도자기공장에서의 도예공들의 필요성에 대한 김정일의 지시로 1981년 9월부터 만수대창작사 도자기창작단에서 작품을 만들게 되었다. <만병초무늬청자꽃병>(1982), <구름학무늬호로주전자>(1988), <인장무늬꽃병>(1987)은 미술전람회에서 1, 2, 3등을 수상한 대표작이다. 일본에서 개최한 1980년 9월 <현대고려청자기전시회>, 1983년 임사준과의 <현대고려청자기 2인전시회>, 1985년 10월, 1989년 4월 <현대고려청자명작전>에 대해 일본 매체들은 고려청자의 전통을 계승하여 예술적인 현대 고려청자로 발전시켰다고 평가하였다. 1982년 공훈예술가, 1984년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수여받고 김일성상을 수상하였다.
관련어 만수대창작사, 국가미술전람회, 공훈예술가, 인민예술가, 김일성상
관련연구(남)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9), 우치선 : 고려청자 다시 현실로!」, 『통일한국』, 345호, 2012 .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이미지

우치선

이미지명 : 우치선

우치선2

이미지명 : 우치선2